프랑스의 소설가 프루스트와 오징어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 미국 UCLA 교육정보대학 교수인 매리언 울프가 쓴 <프루스트와 오징어>는 제목부터 상상력을 자극한다. 2009년 <책 읽는 뇌>로 출간된 이 책은 원제를 살려 다시 나왔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아인슈타인, 에디슨의 공통점은 난독증 [서평]
책은 “독서는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다”란 첫 문장으로 시작한다. 읽는 능력은 말하기, 잠들기 등과 같이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후천적으로 익힐 수 있는 능력에 가깝다는 것이다.

수십만 년에 이르는 인류의 역사에서 독서가 시작된 시기는 불과 몇천 년 전이다. 저자는 인간이 처음 글을 읽게 된 역사부터 짚으면서 수메르, 이집트 문명에서 인류 최초의 문자가 개발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알파벳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인류가 점차 문해력 위주의 사회에서 살게 됐다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읽기 능력을 얻게 된 이유가 ‘뇌의 가소성’에 있다고 밝힌다. 뇌의 가소성이란 뇌가 스스로 신경회로를 바꾸는 특성이다.

어떤 글을 읽을 때 우리 뇌의 한 부분만 자극되는 것이 아니라 독서 회로로 연결된 부분이 전체적으로 자극을 받는다. 이에 따라 독서 회로가 형성되고 변화하면서 읽기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책을 계속 읽느냐 아니냐에 따라 독서 회로가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한다.

‘난독증’도 책에서 다루는 중요한 주제다. 난독증은 독서 회로 연결이 일반적이지 않아 읽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난독증 환자의 남다른 독서 회로가 때로는 창조성이 극도로 발현되는 결과를 낳는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토머스 에디슨 등이 이런 사례다.

저자는 난독증 연구를 ‘빠른 속도로 헤엄치지 못하는 새끼 오징어를 연구하는 것’에 비유한다. 난독증 연구를 통해 오징어가 헤엄을 잘 치기 위해 필요한 것과 다른 오징어처럼 헤엄치지 않아도 죽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독특한’ 재능에 대해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책은 독서의 지적 세계를 상징하는 프루스트와 독서의 신경학적 측면을 상징하는 오징어를 결합해 독서가 인간에게 갖는 의미를 서술하고 있다. 활자보다는 영상을, 읽기보다는 보기를 선호하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면서 읽는 능력을 잃어버린 이들에게 ‘읽는 뇌’의 힘을 알려준다.

이금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