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노동연구원 세미나…"여성·장년 경제활동 참가 높여야"
"인구 감소로 20년 뒤 음식점·소매업 인력 각 60만여명 줄 것"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로 오는 2042년 음식점업과 소매업 등에서 노동 공급이 2022년에 비해 60만명 넘게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산하 한국경제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25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연 '인구감소의 노동시장 영향과 대응과제' 세미나에서 이철희 서울대 교수는 이 같은 노동 공급량 변화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 교수는 지난 2022년과 비교해 2042년 산업별 20∼74세 취업인력 규모가 전반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인구 감소 기조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총인구가 2022년 5천167만명에서 2042년 4천963만명으로 감소하는 데 따라 노동 공급 규모도 줄어든다는 것이다.

노동 공급이 가장 크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 산업은 음식업·주점업이었다.

20년 사이 66만9천여명의 감소가 예측됐다.

이 교수는 소매업(자동차 제외)은 61만여명, 도매 및 상품 중개업은 23만7천여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고학력 노동자 공급은 소매업과 교육 서비스업에서, 저학력 노동자 공급은 음식업·주점업과 농림업 등에서 감소 폭이 클 것으로 분석했다.

반대로 사회복지 서비스업(29만1천여명),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9만5천여명) 등에서는 노동 공급이 늘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교수는 "인구변화 충격에 따른 노동 공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여성과 장년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흩어져 있는 100조원의 예산보다 한두 개 부문의 인구정책에 집중된 예산지원, 최소 10년 이상의 '인구전략기획부' 장관 임기 보장 등 혁명적이고 과감한 정책 추진이 인구 감소 해법 및 한국의 노동시장과 경제성장 패러다임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경협 정철 연구총괄대표 겸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인구 감소는 기업의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숙련 노동자 부족과 인구 고령화로 인한 혁신 저하 및 생산성 하락을 야기한다"며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노동 공급 확대 등 인구감소 문제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