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빅5' 병원 중 하나인 서울성모병원 교수들이 속한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회의를 열고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1일부터 전날 오후까지 가톨릭의대 교수 비대위가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는 정부 정책에 항의하기 위한 휴진 투쟁의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방식은 바꿔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응답 교수의 70%는 경증 환자 진료를 최소화하는 진료 축소의 형식으로 전환해 환자들의 불편을 줄여야 한다고 답했다.

정책에 대한 항의를 휴진으로 표시했지만, 정작 휴진에 대한 관심만 커지고 환자들의 두려움을 키웠다는 평가다. 다만 향후 무기한 휴진에 나설 가능성은 열어뒀다. 비대위에 따르면 향후 큰 저항이 필요한 순간이 온다면 강력한 휴진 등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82%에 달했다.

비대위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무기한 휴진은 유예하기로 했다"며 "단 가톨릭대 병원은 다양한 형태로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와 저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가톨릭의료원은 서울성모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등 산하에 8개 병원을 두고 있다.

비대위는 복귀하지 않고 있는 의대생들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달라고도 촉구했다. 비대위는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못한 채 한 학기를 보냈고 이제 이들이 복귀해서 수업을 받는다고 해도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정상적인 교육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의학교육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동을 멈추길 바라며 학생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길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정부가 전공의들의 7대 요구사항을 수용할 것도 요구했다. 비대위는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이미 시작된 대한민국 의료의 붕괴는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며 "그것을 바로잡는 길은 전공의들의 7대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발표한 7대 요구안은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전면 백지화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수련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전공의 대상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등이다.

빅5 병원 중 가장 먼저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은 진료에 복귀했고,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오는 27일부터로 예고했던 무기한 휴진을 접었다. 내달 4일부터 휴진을 예고했던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