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전지용 소화기 개발하고, 전기차 화재 연구에 39억 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간 배터리·축전지 화재 160여건 발생해
배터리 공장 화재 대비해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 개정 24일 30여명의 사상자를 낳은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와 같은 배터리 화재는 '열폭주'(고온의 온도가 유지되며 불이 계속됨) 양상을 보여 기존 소화용제로 진화가 쉽지 않다.
정부는 이같이 새로운 유형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화하기 위해 리튬전지 등 화학물질 화재용 소화용제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전기차 보급이 급속히 이뤄지는 가운데 전기차 화재 대응 연구에도 39억원을 투입한다.
화재 진압 시 활용하는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도 배터리 공장 화재와 관련한 내용을 반영해 개정할 계획이다.
◇ 일차전지 적합 소화약제 개발 박차…전기차 화재 연구에도 39억 투입
25일 정부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소방청 등은 일차전지에 포함된 리튬과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소화약제를 새롭게 개발하기 위해 내년부터 연구를 추진한다.
배터리·축전지 화재는 2022년 161건 발생해 9명의 부상자를 낳았고, 지난해 160건 발생해 10명이 부상당하는 등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소방청은 '에너지저장장치(ESS)·수소 설비에 대한 대응 기술 및 안전 장비 개발' 사업을 통해 이차전지 등의 불을 더 잘 끌 수 있는 소화용제를 개발했으나, 이를 일차전지 화재 진압용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에 정부에서는 리튬전지와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소화약제를 새롭게 개발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과기정통부에서 예산을 배정해 관련 예비 연구를 진행한다.
소방청 관계자는 "현재도 리튬 화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가 있지만, 가격이 비싸 소화능력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소화용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며 "과기부에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소방청이 자문을 맡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배터리 화재는 대응보다 예방이 중요하기 때문에 애초에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를 만들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립소방연구원 관계자는 "배터리 화재는 진화가 어려워 애초에 화재가 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배터리를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그런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소방청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전국 전지 관련 업체들의 화재 안전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은 화재 현장을 찾아 "화재원인의 정밀 감식과 화재 조기 진화를 위한 종합적 대책을 연구해야 할 것"이라며 "유사 업체의 안전 점검을 진행하고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라"고 당부했다.
급속히 보급되는 전기차의 화재 발생에 대비한 연구개발도 진행한다.
소방당국은 전기차 화재 등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기술개발(R&D) 사업에 올해 39억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하공간 내 전기차 화재, 기계식 타워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 재사용 배터리 안전기준 개발 등 6개 과제를 설정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금속 화재? 배터리 화재?…'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도 개정
소방청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에 현재는 포함되지 않은 배터리 혹은 전기설비 취급공장 화재 등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는 효율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침을 기술한 지침이다.
이번 화재는 리튬전지를 다루는 공장에서 일어나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 상 '금속화재 대응절차'를 밟았다.
하지만 소방당국이 현장에 진입할 때는 이미 배터리가 다 타버린 상태라 '금속화재 대응절차'가 들어맞지 않았다.
'금속화재 대응절차'에 따르면 금속화재는 분진 폭발(가스성 폭발과 비슷하게 공기 중으로 화염이 순식간에 확산하는 양상의 폭발) 가능성이 있어 물, 이산화탄소 소화기로는 소화할 수 없고, 잘 건조된 소금·흑연 등 건식 재료를 사용해 진화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화재는 분진 폭발의 위험성이 없다는 판단하에 물을 활용해 진압했고, 실제로 그런 양상의 폭발은 일어나지 않았다.
현재 배터리나 전기설비 공장 등에서 일어나는 화재에 대한 진압 절차는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에 없다.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의 개정 수요가 있으면 수시로 개정해 반영하는데, 소방청은 이번 화재 또한 반영을 검토하기로 했다.
예컨대 올해 초 소방관 두 명의 목숨을 앗아간 문경의 한 육가공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또한 표준작전절차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개정 절차를 밟아 조만간 개정이 완료된다.
소방청 관계자는 "문경 사고 당시 문제가 됐던 샌드위치 패널 건물 등 위험구조물의 화재와 관련한 신규 작전 절차가 포함됐다"며 "이번 화재 또한 표준작전절차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한 후 필요가 확인되면 추후 개정 때 관련 내용을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배터리 공장 화재 대비해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 개정 24일 30여명의 사상자를 낳은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와 같은 배터리 화재는 '열폭주'(고온의 온도가 유지되며 불이 계속됨) 양상을 보여 기존 소화용제로 진화가 쉽지 않다.
정부는 이같이 새로운 유형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화하기 위해 리튬전지 등 화학물질 화재용 소화용제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전기차 보급이 급속히 이뤄지는 가운데 전기차 화재 대응 연구에도 39억원을 투입한다.
화재 진압 시 활용하는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도 배터리 공장 화재와 관련한 내용을 반영해 개정할 계획이다.
◇ 일차전지 적합 소화약제 개발 박차…전기차 화재 연구에도 39억 투입
25일 정부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소방청 등은 일차전지에 포함된 리튬과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소화약제를 새롭게 개발하기 위해 내년부터 연구를 추진한다.
배터리·축전지 화재는 2022년 161건 발생해 9명의 부상자를 낳았고, 지난해 160건 발생해 10명이 부상당하는 등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소방청은 '에너지저장장치(ESS)·수소 설비에 대한 대응 기술 및 안전 장비 개발' 사업을 통해 이차전지 등의 불을 더 잘 끌 수 있는 소화용제를 개발했으나, 이를 일차전지 화재 진압용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에 정부에서는 리튬전지와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소화약제를 새롭게 개발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과기정통부에서 예산을 배정해 관련 예비 연구를 진행한다.
소방청 관계자는 "현재도 리튬 화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가 있지만, 가격이 비싸 소화능력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소화용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며 "과기부에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소방청이 자문을 맡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배터리 화재는 대응보다 예방이 중요하기 때문에 애초에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를 만들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립소방연구원 관계자는 "배터리 화재는 진화가 어려워 애초에 화재가 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배터리를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그런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소방청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전국 전지 관련 업체들의 화재 안전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은 화재 현장을 찾아 "화재원인의 정밀 감식과 화재 조기 진화를 위한 종합적 대책을 연구해야 할 것"이라며 "유사 업체의 안전 점검을 진행하고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라"고 당부했다.
급속히 보급되는 전기차의 화재 발생에 대비한 연구개발도 진행한다.
소방당국은 전기차 화재 등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기술개발(R&D) 사업에 올해 39억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하공간 내 전기차 화재, 기계식 타워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 재사용 배터리 안전기준 개발 등 6개 과제를 설정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금속 화재? 배터리 화재?…'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도 개정
소방청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에 현재는 포함되지 않은 배터리 혹은 전기설비 취급공장 화재 등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는 효율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침을 기술한 지침이다.
이번 화재는 리튬전지를 다루는 공장에서 일어나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 상 '금속화재 대응절차'를 밟았다.
하지만 소방당국이 현장에 진입할 때는 이미 배터리가 다 타버린 상태라 '금속화재 대응절차'가 들어맞지 않았다.
'금속화재 대응절차'에 따르면 금속화재는 분진 폭발(가스성 폭발과 비슷하게 공기 중으로 화염이 순식간에 확산하는 양상의 폭발) 가능성이 있어 물, 이산화탄소 소화기로는 소화할 수 없고, 잘 건조된 소금·흑연 등 건식 재료를 사용해 진화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화재는 분진 폭발의 위험성이 없다는 판단하에 물을 활용해 진압했고, 실제로 그런 양상의 폭발은 일어나지 않았다.
현재 배터리나 전기설비 공장 등에서 일어나는 화재에 대한 진압 절차는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에 없다.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의 개정 수요가 있으면 수시로 개정해 반영하는데, 소방청은 이번 화재 또한 반영을 검토하기로 했다.
예컨대 올해 초 소방관 두 명의 목숨을 앗아간 문경의 한 육가공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또한 표준작전절차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개정 절차를 밟아 조만간 개정이 완료된다.
소방청 관계자는 "문경 사고 당시 문제가 됐던 샌드위치 패널 건물 등 위험구조물의 화재와 관련한 신규 작전 절차가 포함됐다"며 "이번 화재 또한 표준작전절차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한 후 필요가 확인되면 추후 개정 때 관련 내용을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