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우리도 핵무장해야"…경쟁자들 "美 핵우산 실효성 확보부터"
홍준표, NPT 탈퇴 핵무장론 주장…한동훈 "국제 제재 피하기 어려워"
與 핵무장론 논쟁 재점화…"이제 핵 가져야" "우방 통한 억지"(종합)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은 25일 여권에서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이 다시 이슈로 떠올랐다.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 북러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로 한반도 정세가 최근 급랭한 상황과 국민의힘 당권 경쟁이 맞물리면서 핵무장론이 쟁점으로 돌출한 것이다.

당권 주자인 나경원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며 가장 먼저 핵무장론을 띄웠다.

그는 보수 진영의 외곽 조직인 '새로운미래준비위원회(새미준)' 정기 세미나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경우 미국의 (대북) 태도도 바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여권 인사들도 핵무장론에 힘을 실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미준 세미나 강연에서 북한 핵능력 고도화를 언급하며 "우리가 핵을 갖지 않으면 '핵 그림자 효과'(핵을 갖고 있음을 인식하는 상대를 위축시켜 전략적 우위에 서는 효과)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 글에서 "뉴욕이 불바다 될 것을 각오하고 (미국이) 서울을 지켜줄 수 있는가"라며 독자 핵무장을 위한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 필요성을 제기했다.

반면 나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당권 경쟁자 3명은 속도 조절 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였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방을 통한 핵 억지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제사회 제재를 감안한 판단으로, 정부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현 단계에서 독자 핵무장으로 직행하면 국제사회 제재가 불가피하다는 게 한 전 위원장 인식이다.

한 전 위원장은 다만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가 가능한 일본의 경우를 들어 "국제 정세는 늘 변할 수 있으니, 일본처럼 언제든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까지는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후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NPT 탈퇴 후 핵무장을 시도한 것은 북한이 유일하고, 우리가 같은 방식으로 핵무장을 할 경우 국제사회 제재를 피하기 어렵다"며 'NPT 탈퇴 핵무장론'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페이스북에 "독자적 핵무장 추진이 말로 되는 것은 아니다.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원 전 장관은 "지난해 한미 양국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우산 강화' 성과를 얻었다"며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통해 대북 핵 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당장 핵무장은 힘들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한반도 영해 밖에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 전략자산을 갖다 놓고, 한미 간 핵 공유 협정을 맺는 게 훨씬 더 현실적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나 의원은 한 전 위원장과 원 전 장관을 겨냥, "나약한 사고방식"이라고 꼬집었다.

나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한동훈·원희룡 후보 말씀이 과거엔 '신중하다'는 평가를 들을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이제는 '안이하다'는 평가가 나올 법하다"며 "우리 스스로 지킬 힘을 갖추는 것에 주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