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선태 위원장 "미흡한 조사 결과 아쉬워, 추가 조사 이뤄져야"
해단 하루 앞둔 5·18 조사위, 국립 민주묘지 참배(종합)
송선태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 위원장은 25일 "미흡했던 조사에 대해 추가 조사가 이뤄져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이 규명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이날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최상의 결과로 이어지지 않아 안타깝고 아쉽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40여년 간 참배하러 왔지만, 활동 종료를 하루 앞둔 오늘은 남다른 감회가 느껴진다"며 "5·18 조사는 끝나지 않았고 항구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영령께 참배하며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자 조사와 달리 가해자들은 증언을 거부해 충분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행방불명자·암매장 의혹에 대해서는 꾸준한 조사·탐색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사가 미흡하다는 시민 사회 여론에 대해서는 "광주시민의 비판과 조언을 집단지성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보고서를 충분히 탐독하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나가는 데 서로 지혜를 모아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날 참배에는 송 위원장을 비롯한 5·18 전원위원회 위원·직원 등 10여 명이 함께 했다.

참석자들은 5·18 추모곡인 '님을 위한 행진곡'에 맞춰 참배단으로 이동했고, 헌화·분향으로 오월 영령의 넋을 기렸다.

제2묘역, 망월동 5·18 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에서 참배를 마친 뒤에는 땅에 박힌 '전두환 비석'을 발로 짓밟기도 했다.

송 위원장은 참배에 앞서 '영령들의 민주주의를, 고귀한 희생을 길이 기억하겠습니다'고 방명록에 적었다.

5·18 진상규명을 위해 2019년 출범한 조사위는 오는 26일 오후 3시 해단식을 끝으로 활동을 종료한다.

특별법을 토대로 선정한 17건의 직권 조사 과제를 4년 6개월 동안 조사했고, 11건의 진상을 규명했다.

조사 과정에서 신원 미상의 유골 19구를 발굴하기도 했는데, 일치하는 행불자 가족 DNA가 없어 유골을 광주시에 위탁 보관하기로 했다.

해단 하루 앞둔 5·18 조사위, 국립 민주묘지 참배(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