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인프라를 화성캠퍼스 내 삼성메모리리서치센터(SMRC)에 구축했다. CXL는 업계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이은 차세대 메모리로 불린다. HBM 시장에서 경쟁사 SK하이닉스에 승기를 뺏긴 삼성은 CXL 상용화에 앞장서 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회복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은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선도 기업인 레드햇(Red Hat)이 인증한 CXL 인프라를 자사 시설(SMRC)에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달 초엔 업계 처음으로 삼성의 최신 CXL 확장 메모리인 CMM-D 제품이 레드햇 인증을 받는 데 성공했다. 양사가 2022년 차세대 메모리 분야 소프트웨어 기술 협약 체결을 맺은 지 2년 만에 거둔 결실이다.

삼성은 이번 인프라 구축으로 CXL 관련 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과 성능 평가, 검증 등 과정에서 외부 기관에 맡겨 인증을 거치는 시간을 단축해 경쟁사보다 빠르게 제품을 상용화할 수 있다.

삼성은 이를 통해 CXL 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CXL 시장은 이르면 올 하반기 본격 개화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처리해야 할 데이터 양이 급증하면서 글로벌 빅테크의 CXL 수요가 커지고 있다. CXL은 메모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 가능해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장조사 업체 욜인텔리전스에 따르면 CXL 시장은 2022년 170만달러에서 2026년 21억달러로 연평균 6배 정도로 급격하게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