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이 이른바 ‘틱톡 금지법’이 사업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법안 통과를 주도한 미국 의회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사실상 반기를 든 것으로 해석된다.

24일(현지시간) 오라클은 지난달 31일 마감한 회계연도 연례 보고서에서 “틱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제때 틱톡이 처리하던 용량을 다른 곳으로 배치할 수 없다면 매출과 수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로운 법률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문 자원을 구하는 등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의회는 지난 4월 민주·공화 양당의 초당적인 지지로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최대 36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틱톡의 미국 서비스를 금지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법안은 이전부터 지지 의사를 밝힌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하며 공포됐다.

틱톡은 오라클의 가장 큰 고객사로 알려져 있다. 미국 내 약 1억7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틱톡은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처리하기 위해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해왔다. 월가 대형 투자은행(IB)인 에버코어ISI의 커크 매턴 애널리스트는 오라클이 틱톡에서 얻는 연간 수익이 최대 8억달러(약 1조11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다.

오라클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연례보고서에 틱톡 금지법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것은 이례적이다. 그동안 오라클은 틱톡과의 관계에 대해 함구해왔다. 하지만 예상되는 막대한 손해에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해석된다. 데릭 우드 TD코웬 애널리스트는 4월 “오라클은 틱톡의 미국 사업과 연계된 상당한 수준의 매출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틱톡이 사실상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몰리자 틱톡과 이해관계가 얽힌 미국 테크업계의 반발도 커지는 모양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