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 전곡산업단지 내 아리셀 공장 화재 이후 배터리 업계 안전관리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고온과 압력에 취약한 리튬 특성 탓에 다른 제조업보다 더 꼼꼼한 안전 대비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코스닥시장 상장사 비츠로셀의 충남 당진 공장은 관련 업계의 모범적인 재해 대응 사례로 꼽힌다.

아리셀처럼 1차전지를 만드는 이 회사는 업계에서 ‘불사조’ 기업으로 통한다. 2017년 4월 대형 화재사고를 딛고 부활해 국내 1차전지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서면서다. 비츠로셀의 충남 예산 공장은 화재 당시 관리동과 생산동 등 3개 건물이 모두 불에 탔다.

비츠로셀은 당진에서 새출발했다. 설계 당시부터 최우선에 둔 건 안전이었다. 장승국 비츠로셀 대표는 25일 “진도 7의 지진도 견딜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수준의 내진 설계를 적용했다”고 말했다.

사고가 난 아리셀은 복층 구조에 가연성인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해 불길이 삽시간에 번졌다. 비츠로셀 당진 공장은 단층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적용했다.

특수 스프링클러도 일반 제조공장과의 차별점이다. 장 대표는 “스프링클러에 물뿐만 아니라 질석을 섞었다”며 “건물 곳곳에 센서를 부착해 조금만 의심스러운 냄새가 나도 작동한다”고 했다. 질석은 열을 받으면 부피가 커지면서 불꽃과 열기를 차단하는 광물이다. 소방당국도 금속화재 진압 용도로 쓴다.

장 대표는 “개별 기업이 실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재원과 기술, 인력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