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하루 만에 회사대표 포함 5명 입건·전원 출국금지
'사상 최악 화학공장 사고'·'사망자 대다수 외국인'…수사에 가속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 수사가 조만간 강제수사로 전환될 전망이다.

25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화재 사고 수사본부는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의 혐의로 아리셀 박순관 대표 등 5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하고, 전원 출국 금지했다.

화재 발생 하루 만에 사고의 주요 책임자들에 대한 형사 처벌 절차에 돌입한 것이다.

'31명 사상' 화성 아리셀 공장화재, 강제수사 임박했나
이번 화재는 사망자 23명, 부상자 8명 등 총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1989년 전남 여수 국가산업단지 내 럭키화학 폭발 사고(사망 16명, 부상 17명) 보다 인명 피해 규모가 큰 역대 최악의 화학 공장 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경찰은 이런 점을 고려해 대상자 입건 및 출국 금지 등의 조처를 신속하게 진행했다.

화재 사망자 중 대다수인 18명이 외국인(중국인 17명, 라오스인 1명)인 점도 경찰 수사가 속도감 있게 진행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화재 당일 현장을 방문해 당국으로부터 화재 발생 개요 및 피해 현황에 대해 보고받았다.

중국 현지 언론을 비롯한 외신에서도 외국인 근로자가 다수 사망한 이 사고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외교부 등 정부 부처,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련 국가 공관 등과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사망자 장례와 피해 보상까지 전 과정을 지원키로 한 상황이다.

'31명 사상' 화성 아리셀 공장화재, 강제수사 임박했나
이처럼 범정부적 대응이 이뤄지는 가운데 경찰에서도 이른 시일 내에 아리셀 등 관련 업체에 대한 강제수사를 벌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화재 등의 사고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할 경우, 경찰은 사안의 무게를 고려해 수사본부를 편성한다.

이후 관계지 진술 청취, 주요 책임자 입건 및 출국금지, 현장 감식에 이어 압수수색을 하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이다.

이번에 경찰이 강제수사에 앞선 대부분의 절차를 밟은 점을 감안하면, 이번주 중에 압수수색을 단행할 수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중인 사안이므로 아무 말도 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4일 오전 10시 30분께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 3동에서 불이 나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시신의 훼손 상태가 심해 현재까지 전체 사망자 중 3명의 신원만 확인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