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바이든 국방부 전기 군용차 반대…"적국 환경까지 챙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기후변화 대응을 비판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번에는 국방부의 군용차 전동화 계획을 문제 삼고 있다고 정치매체 폴리티코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유세와 인터뷰에서 전기로 가는 탱크와 지속 가능한 연료를 사용하는 전투기가 미군의 전투력을 약화하고 장병들을 공격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을 오랫동안 비판해왔는데 이제는 국방부의 탄소 배출 저감 전략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그는 지난달 위스콘신주에서 열린 유세에서 "그들은 육군 탱크를 전부 전동화하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 불을 뿜으며 진격할 때 그 나라의 환경과 공기를 좋고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다.

도대체 제정신이냐?"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폭스뉴스 인터뷰에서는 전기 탱크에 필요한 배터리가 너무 커서 탱크가 배터리 운반용 트레일러를 뒤에 끌고 다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전미총기협회(NRA) 행사에서는 군이 적국 하늘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려고 지속 가능한 항공유를 사용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은 우리 전투기가 녹색 에너지 절약 인증을 받기를 원한다.

그렇게 하면 효율성이 15%나 떨어지지만 우리가 적을 한 번도 보지 못한 수준으로 맹렬하고 인정사정없이 공격하는 동안 적의 공기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장이 미 육군의 기후 전략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전략에는 2035년까지 모든 비(非)전투 차량을 전기차로, 2050년까지 전투용 차량을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다만 육군은 그런 결정이 전략적으로 이뤄질 것이며 적과 싸워 이긴다는 육군의 핵심 목적이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미군은 트럼프 행정부 때부터 기후변화가 국가 안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대비해왔으며 임무 수행에 차질이 생기지 않는 한 비용과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지속 가능한 연료를 사용하는 방안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일부 전문가들은 전기차나, 기름과 전기를 같이 쓰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탱크는 디젤 연료를 소비하지 않고도 탱크의 컴퓨터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게 해 기존 탱크 대비 연료 사용을 20% 줄일 수 있다.

연료 사용을 줄이면 전방에 연료를 계속 보급하지 않아도 된다.

미군이 개발 중인 전기 정찰차는 휘발유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조용하고 열 감지가 어렵다.

또 미군의 화석연료 소비는 상당 부분 국내 기지와 병력·화물 운송용 차량과 항공기에서 이뤄지고 있어 군의 전동화도 전장과 먼 곳에 집중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