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前 美국무 "멕시코의 사법부 개혁 개헌, 카르텔만 이득"
트럼프 측근의 개헌추진 비판에 멕시코 대통령 "내정간섭 마라"
멕시코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자신과 차기 대통령 당선인 간 교감 속에 추진 중인 '사법개혁 개헌안'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측근의 비판에 "미국식 개입주의"라며 힐난했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70)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마이크 폼페이오(60) 전 미국 국무장관의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과 관련, "미주 국가들이 미국인들을 위한 것이라는 먼로 교리에 갇힌 개입주의적 태도"라고 말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외람되지만, (이번엔) 다른 나라의 일에 참견하는 것에 좀 서투른 모습을 보인 것 같다"며 "이런 언행이 계속된다면, 미국 내 마약 밀매와의 전쟁에 많은 도움을 주는 우리는 그들을 존중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은 지난 20일 WSJ에 클라우디아 셰인바움(62) 멕시코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중 하나인 '판사 직선제' 개헌과 주(州) 국가방위대의 군 편입 구상 등을 로페스 오브라도르 현 대통령의 '급진적 유산'이라고 평가하면서 "멕시코 국민에게 피해를 주고 외국 투자를 위축시키며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하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멕시코 차기 정부에서 개헌을 추진하면 "양국에 독을 퍼뜨리는" 마약 밀매 카르텔만 이득을 보고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만약 USMCA가 폐기라도 된다면 그 가장 큰 수혜자는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2018년 4월부터 2021년 1월까지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폼페이오는 대표적인 대(對)중국 매파 인사다.

재임 당시 북미협상을 전담하기도 하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트럼프 정부 시절 장관이자 어쩌면 미 공화당 대통령 후보직까지 열망했을 그가 (그런) 의견을 갖는 건 당연하다"면서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인사 간) 상호 비난과 여러 의견이 나오는 상황은 우리도 잘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멕시코 대통령은 또 최근 양국 간 논란을 일으킨 미국의 아보카도 일시 수입 중단에 대해 "멕시코에 있던 미국 수입 안전 검사관들이 시위 진압에 나선 우리 경찰 제지에도 어떤 구역을 지나가기를 원하면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측은) 대화로 풀면 될 일을 일방적으로 오만하게 행동해선 안 된다"고 꼬집었다.

앞서 미 농무부(USDA)는 "보안 문제"를 이유로 멕시코 미초아칸주(州)에서 재배하는 아보카도에 대한 수입 검사 절차를 며칠간 멈췄다고 미초아칸 주지사가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