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타면 멀미 난다?…멀미 저감 안내 해주면 도움 된다
최근 전기자동차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전기차 탑승 시 멀미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례를 각종 매체와 경험담을 통해 종종 접할 수 있다. 이 같은 증상은 운전자보다 동승자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실제로 전기차 소유자들로부터 직접 운전할 때보다 뒷자리나 옆자리에 탑승했을 때 멀미가 심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엔진보다 응답 속도가 빠른 모터를 사용한다. 순간적으로 가속이 가능하다. 회생제동 설정에 따라 감속 또한 급격하게 이뤄진다. 전기차를 운전하는 사람은 이런 전기차의 특성을 이해하고 가속과 감속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는 정도가 덜한 편이다. 하지만 동승자의 경우 이런 전기차 속도 변화로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어지럼증, 두통, 멀미라는 불편한 경험을 하게 된다.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회생제동 강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적응형 회생제동 기능을 통해 도로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회생제동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기차를 운전하는 사람은 평소 습관대로 운전하기 때문에 동승자가 어지러움을 느낀다는 사실을 인지하기가 어렵다.

전기차에 타고 있는 가족이나 손님, 친구 등이 멀미와 어지럼증을 덜 겪게 하기 위해서는 멀미 저감 안내 시스템을 적용해 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우선 실내 센서를 통해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확인한다. 동승자 탑승 여부는 초음파를 이용한 실내 헤드라이닝(천장) 센서나 착좌 센서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동승자 탑승 여부를 확인하면 자동차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모니터링한다. 차량 시스템은 급가속이나 감속이 심한 때를 감지해 차량 디스플레이에 멀미 주의 문구 제공 및 멀미 저감 모드를 단계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을 제공한다. 급가속이나 감속 정도를 단계별로 설정해 이를 멀미 유발 단계로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급가속/감속 3단계의 경우 멀미 유발 3단계로 설정하고, 운전자에게 ‘동승자의 멀미가 예상됩니다’라는 팝업 문구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운전자는 이 문구를 보고 멀미 저감 주행 모드를 선택해 동승자를 배려할 수 있다.

멀미에는 개인차가 있다. 멀미 유발 단계와 가속, 감속 단계를 매칭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전기차 보급이 점차 확대될 전망인 가운데 전기차에 대한 인식은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이런 연구 개발을 통해 함께 타고 있는 동승자를 배려하며 나아가 전기차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