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에 100m 높이 태극기 국가상징물 세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국가 정체성과 상징 담아
2026년 준공 예정
국가 정체성과 상징 담아
2026년 준공 예정
한국을 상징하는 광화문광장 중심에 100m 높이로 태극기 국가상징조형물이 세워진다. 미국 워싱턴 모뉴먼트(170m)나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50m), 아일랜드 더블린 스파이어(120m)처럼 국격을 나타내는 조형물이 서울 한복판에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25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2026년까지 광화문광장에 태극기가 게양된 100m 높이 조형물과 애국의 의미를 담은 '꺼지지 않는 불꽃' 조형물 건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6·25전쟁 참전용사를 초청한 자리에서 “6·25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그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가상징조형물은 태극기가 중심이다. 서울시는 6·25 전쟁 직후 최빈국이었지만 지금은 국제사회를 주도하는 한국의 위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할 계획이다. 태극기는 3·1운동부터 1987년 6월 항쟁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함께하며 월드컵·올림픽 등에서도 국민을 단합시키는 역할을 해온 점을 고려했다.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니라 예술성과 기술력을 접목한 상징물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가령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그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 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 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될 예정이다.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설치된다. 기억과 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영웅을 기리면서 한국의 영속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겠다는 의도다. 김승원 균형발전본부장은 "국가보훈부의 요청이 있었다"며 "LPG를 활용해 실제로 불꽃을 만들어내거나 조형물로 하는 방법, 빛 조명으로 형상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와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협의체를 구성해 국가상징공간 조성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도 조성 30여 년 만에 ‘도심 속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광화문광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해 일체화된 녹지공간으로 조성된다. 광장 주변 유일한 거점형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인다. 옥상 공간을 녹지로 덮어 시민 누구나 도심 속에서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야외 숲속 레스토랑을 비롯해 지상?지하 안내센터, 시민휴게소 등 공용공간도 마련한다.
주변 공간과의 조화와 상징성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오는 8월~11월 통합설계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해병대 출신 권영수씨(93세)는 “이제는 시간이 많이 지나 어렴풋하지만, 인천상륙작전부터 서울 수복까지의 시간이 잊혀지지 않는다”며 “서울이 수복되던 때, 대한민국이 다시 살아났다”고 생각했다는 소회를 밝혔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서울시는 25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2026년까지 광화문광장에 태극기가 게양된 100m 높이 조형물과 애국의 의미를 담은 '꺼지지 않는 불꽃' 조형물 건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6·25전쟁 참전용사를 초청한 자리에서 “6·25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그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가상징조형물은 태극기가 중심이다. 서울시는 6·25 전쟁 직후 최빈국이었지만 지금은 국제사회를 주도하는 한국의 위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할 계획이다. 태극기는 3·1운동부터 1987년 6월 항쟁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함께하며 월드컵·올림픽 등에서도 국민을 단합시키는 역할을 해온 점을 고려했다.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니라 예술성과 기술력을 접목한 상징물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가령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그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 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 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될 예정이다.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설치된다. 기억과 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영웅을 기리면서 한국의 영속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겠다는 의도다. 김승원 균형발전본부장은 "국가보훈부의 요청이 있었다"며 "LPG를 활용해 실제로 불꽃을 만들어내거나 조형물로 하는 방법, 빛 조명으로 형상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와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협의체를 구성해 국가상징공간 조성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도 조성 30여 년 만에 ‘도심 속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광화문광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해 일체화된 녹지공간으로 조성된다. 광장 주변 유일한 거점형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인다. 옥상 공간을 녹지로 덮어 시민 누구나 도심 속에서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야외 숲속 레스토랑을 비롯해 지상?지하 안내센터, 시민휴게소 등 공용공간도 마련한다.
주변 공간과의 조화와 상징성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오는 8월~11월 통합설계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해병대 출신 권영수씨(93세)는 “이제는 시간이 많이 지나 어렴풋하지만, 인천상륙작전부터 서울 수복까지의 시간이 잊혀지지 않는다”며 “서울이 수복되던 때, 대한민국이 다시 살아났다”고 생각했다는 소회를 밝혔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