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황금' 캐던 장성동 경기 침체…자고 나면 떠나는 이웃들
실직 앞둔 광부들 "살고 싶어도 땅이 없어" 대부분 석탄공사 부지
태백시, 청정메탄올·미래자원 클러스터 조성 등 대체산업 발굴 안간힘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 편집자 주 = 국내 최대 규모인 태백 장성광업소가 오는 7월 1일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연합뉴스는 산업화시대 석탄산업의 중심지로 이바지해온 장성광업소의 폐광을 현실로 받아들여야 하는 지역 사회 표정, 국민 연료 공급원으로서 빛과 그림자, 재도약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책 등을 3편으로 나눠 송고합니다.

]

"20년 전부터 예견된 일인데 어떻게든 버티고 있지요.

그래도 희망을 캐 봐야지요.

"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태백시 장성동에서 30년 이상 음식점을 하는 이모(64)씨는 폐광을 앞둔 길 건너 장성광업소를 바라보며 연신 한숨뿐이었다.

매출이 80%는 족히 줄어 폐업 위기에 몰렸지만, '어떻게든 버티고 있다'는 절박함이 역력했다.

태백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 석탄산업을 상징하던 장성광업소가 8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 한국 석탄산업 중심지 태백 이끌던 장성동
한때 장성은 국내 석탄산업을 이끌었던 태백, 그 자체였다.

6·25 전쟁 이후 국내 유일의 연료 자원인 석탄은 '검은 황금'으로 불리며 어려웠던 시절을 이겨낼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이자 돌파구였다.

태백은 한때 640만t의 석탄을 생산해 전국 생산량의 30%를 차지, 전국 제1의 광도로 국가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장성동은 옛날 하장생(下長生), 장생으로 불리던 지역으로 1981년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행정구역상 장성동으로 바뀌었다.

1960년 일본인에 의해 삼척개발주식회사가 설립되고, 6.25전쟁 이후 대한석탄공사가 창립되면서 잠자던 장성마을은 눈부신 발전을 시작했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하지만,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정책 이후 50여개에 달하는 광산이 서서히 문을 닫았고, 오는 7월 1일 태백지역 마지막 탄광으로 석탄공사가 운영하는 장성광업소마저 문을 닫는다.

26일 찾아간 장성동은 여느 곳이나 다름없는 소도시 풍경이지만, 이곳 주민들 속마음은 마을 앞산을 뒤덮은 석탄 가루처럼 새카맣게 타들어 갔다.

사설 탄광이 문을 닫고 광부들이 떠나면서 쑥대밭이 된 지 오래인데 최근에서야 쏟아지는 대책에 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예고한 일인데 지금에서야…'라며 안타까워했다.

주민들은 이웃 주민이 하나둘 떠나는 모습에 두려움과 불안감을 넘어 마을이 통째로 사라질 수 있다는 공포감까지 느끼고 있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주민 김모(58)씨는 "석탄산업이 호황을 누릴 때 강아지가 돈을 물고 다닌다는 우스갯소리까지 있던 마을이지만 이제는 유령도시가 될까 두렵다"며 "폐광으로 실직을 앞둔 140여명이 일자리가 없어 가족과 함께 떠나면 충격파는 예측하기 힘들다"고 우려했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 장성동 골목 고요함 속 공포감 엄습…자고 나면 떠나는 이웃
실제로 장성동 골목거리 곳곳은 풍요롭던 '호황'의 영화는 검게 쌓인 흑백 풍경이 된 지 오래다.

골목에 첫 석탄 발견지와 최대규모 탄광을 자랑하는 안내문과 조형물이 조성돼 있지만, 정작 인적은 거의 없었다.

지역 경기는 당장 내일을 걱정할 처지가 돼 절벽 끝에 서 있었다.

검은 땀을 흘리던 광부들이 고단한 하루를 마치고 동료들과 목을 씻던 지역 명물 연탄구이집 테이블은 '그때 그시절'이 됐다.

연탄구이 특성상 연탄을 계속 피워두어야 하는데 손님이 없어 내부를 가득 채웠던 테이블은 한쪽 끝에 내몰린 채 불이 꺼진 지 오래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 />
택시 운전을 했던 최모(68)씨는 "석탄 합리화 전까지 상점가가 즐비하던 장성동 도심 거리는 대부분 합승으로 다닐 손님이 넘쳐났다"며 "태백의 마지막 탄광마저 문을 닫게 돼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상상 이상"이라고 하소연했다.

태백시 전체 인구는 한때 12만명에 달할 정도였지만, 현재 3만8천명으로 ⅓ 수준으로 곤두박질했다.

장성동의 경우 2014년 4천100여 명에 달하던 인구가 8년 만에 1천여 명이 떠나 비어있는 집과 점포가 점점 늘어 을씨년스럽기 그지없다.

마을 경제를 이끌던 중앙시장 100여 개 점포는 30개 점포로 줄었고, 시장 통로 곳곳에는 매매를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상인 장모(92)씨는 "이곳 시장에서 평생 그릇을 팔아왔는데, 오늘은 1만5천원밖에 팔지 못했다"며 "상가를 내놓아야 아무도 물어오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문을 열어 놓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양호 시장 조합장은 "지역 경기라는 게 한꺼번에 무너지지 않고 서서히 죽어가는 양상"이라며 "탄광만 바라보고 살던 주민들에게는 광부에게 주는 위로금조차도 없어 삶의 줄이 간당간당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광부 "탄광 밖도 칠흑 같은 현실"…안정된 거주지 절실
광업소가 문을 닫으면서 퇴직을 맞게 된 광부들의 심정은 막장 공기만큼이나 답답하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 />
20년 넘게 광부로 활동했던 김영문(47)씨는 "여기에 땅을 사서 생활을 하고 싶어도 90%가량이 석탄공사 소유여서 살 수가 없다"며 "석탄공사 소유의 사택을 분양하든지, 분양해주는 방식으로 광부들이 떠나지 않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석탄공사는 사택에서 지내던 근로자는 1년 동안 임대료는 무상으로 지원하기로 했지만, 이들이 정착할 수 있는 토지가 없는 것이 문제다.

태백시가 위기에 빠진 마을을 위해 석탄공사 소유의 토지를 반환받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이지만, 당장 코앞에 다가온 현실에 주민들 마음은 조급하기만 하다.

발길을 돌려 찾아간 장성광업소는 폐광 준비가 대부분 마무리된 모습이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광업소 관계자는 "석탄 생산은 3월까지 이뤄진 후 4월부터는 갱내 채탄 장비 등을 철수했고, 거의 마무리됐다"며 "문을 닫더라도 약 4년간 저탄장에 쌓인 석탄에 대한 출하(판매)는 이뤄지게 된다"고 말했다.

광부들이 가쁜 숨을 내쉬던 갱 속에는 고요한 적막이 흘렀다.

30도를 넘는 지열에 견디며 땀과 탄가루고 범벅이 됐던 모자와 장갑은 캐비닛에 들어갔고, 북적거렸던 갱내 철길은 마지막 전등 빛이 어둠 속으로 스러지고 있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한 광부는 "앞으로 지역 경기가 완전히 무너지지 않으려면 수몰시킬 것이 아니라 갱내 수직으로 지하 900m까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등을 관광 자원화하는 방안을 지역사회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폐광지역의 새로운 틀을 짜기 위한 첫 단계로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한 태백시는 장성광업소 일대에 5년간 청정메탄올 등 미래자원 클러스터 등을 조성해 폐광지역을 살릴 방침이다.

[태백 탄광 폐광] ① "오래전부터 예견했지만…삶의 희망 캘 수 있을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