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반테스가 1605년에 출판한 소설 <돈 키호테> 만큼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줬던 작품도 드물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돈 키호테’는 청각의 영역만으로 시각적 효과를 동반한 그 어떤 작품보다도 입체적이며 풍부한 상상을 불러 일으키는 걸작이다.
좌충우돌 '돈 키호테'를 완벽하게 그려낸 첼리스트 심준호
지난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의 6월 정기연주회에서는 오케스트라 사운드의 극치과 절정의 황홀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날 공연은 월간 <아르떼> 매거진의 창간을 기념하는 자리로 300명 이상의 정기구독자가 참석했다고 한다.

아르떼필의 ‘돈 키호테’에서 서주의 떠들썩하면서 혼란스러운 소란스러움은 에피타이저였다. 세번째 변주에서 돈 키호테와 산초의 대화가 무르익으면서 오케스트라가 자아내는 극적인 분위기의 고양은 일품이었다. 첼리스트의 격렬한 연주가 리드하며, 국내 오케스트라로서는 보기 드물게 강력한 첼로와 더블 베이스의 저음 연주를 만끽할 수 있던 장면은 콘서트 고어로서 흐뭇했다. 다만 프레이징의 묘미를 좀더 살리면서 장면 장면을 좀더 음미하며 리드했다면 더 효과적이었을 것 같았다.
좌충우돌 '돈 키호테'를 완벽하게 그려낸 첼리스트 심준호
작품은 치밀한 앙상블만이 열 수 있는 관현악의 비경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오케스트라의 일원에게 저마다 솔리스트로서의 역량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클라리넷, 트럼펫, 호른, 팀파니 수석의 활약이 인상적이었다.

이날 연주회의 가장 두드러진 수훈갑을 꼽으라면 역시 ‘돈 키호테’로 분한 첼리스트 심준호다. 시종 캐릭터에 완전히 빠져든 연주였다. 좌충우돌하는 인물을 이렇게 격렬하게 그려낸 연주는 떠오르지 않는다. 어수선한 분위기를 압도하며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낸 일성부터 굳건한 보잉으로 모험을 떠나는 비장한 무드를 완벽하게 조성했다.

앞서 언급한 저음현을 이끌던 장면은 격렬한 연주로 전장에 나선 결연함을 보이며, 섬세한 프레이징의 묘미로 비르투오지티를 마구 뿜어냈다. 결투에서 패배하고 결국 죽음을 앞둔 장면까지 이어지는 장면은 너무나 뭉클한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이 대목에서 그의 표정마저 무척 예술적이었다.

‘산초 판자’로 분한 비올리스트 김상진의 부드럽고 아기자기한 연주는 음향적으로나 캐릭터상 차별되며 극의 전개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는 1부에서 브루흐가 만년에 천착했던 비올라를 연주하여 ‘로망스’를 들려주었다. 또렷하지만 오케스트라와 조화가 훌륭하며 작품의 낭만성을 잘 살린 수연이었다. 이어서 심준호가 ‘콜 니드라이’를 연주했다. 거친 호흡과 간결한 프레이징 그리고 강한 비브라토로 색다른 인상을 주었다. 작품이 통상적으로 주고 있는 ‘기도’의 이미지와는 사뭇 달랐다.
좌충우돌 '돈 키호테'를 완벽하게 그려낸 첼리스트 심준호
다채로운 음향의 매력과 함께 잘 짜여진 스토리를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래밍, 흔히 듣기 힘든 관현악의 정점에 있는 명곡, 게다가 정상급 솔리스트의 협연. 이번 아르떼필의 정기연주회는 훌륭한 오케스트라 콘서트의 요소를 고루 맛본 보기 드문 기회였다.

김준형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