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체 핵심기술 산업체 조속히 이전하면 발사 빨라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영득 천문연 원장, 우주항공 리더 조찬포럼서 주장
"한국 우주개발, 기술 중심서 목표 중심으로 바꿔야"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은 26일 "발사체가 우주개발 분야에서 큰 비용을 차지하고 주력이 되는 게 아쉽다"며 "한시라도 빨리 핵심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하면 차세대 발사체 개발 목표인 2032년보다 빨리 발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박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가 주최한 '제2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에서 "우주개발 선진국으로 나가려면 공공우주 핵심 기술을 빠르게 우주 산업계로 이전시켜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앞두고 기술 소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우주항공청 내 다른 산하기관장이 기업에 빠른 기술이전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그는 미국의 사례를 보면 공공우주 개발 부문에서 발사체 개발을 전부 민간에 이양하고 천체망원경이나 우주선, 우주정거장 등 심우주 탐사에 주력하고 있다며 선진국들의 방향 전환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1957년 처음 발사체 개발에 성공한 러시아에 비해 우리는 60년 이상 뒤져 있고 이는 국제경쟁력이 없다는 것"이라며 "발사체 개발을 해야 하겠지만 국가에서 주력으로 해야 할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핵심기술을 과감하게 빨리 이전시켜야지 붙잡고 있으면 우주개발에서 뒤처진다"며 민간에 기술을 이양하면 방법이 만들어지고 선도 기술이 나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지금까지 한국의 우주개발이 기술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목표를 중심으로 기술이 따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해외에서는 200㎏짜리 로봇을 실어 가겠다고 하면 이를 실을 공간을 갖춘 위성체를 개발하고 이 무게를 들어 올릴 발사체를 만드는데 우리는 발사체부터 만들고 위성체를 맞춰 무게에 따라 임무를 정하는 방식으로 거꾸로 갔다"며 "이러면 새로운 기술을 절대 개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심우주 탐사의 경우 해외에서도 기껏해야 2010년대부터 시작했다"며 "심우주 탐사는 굉장히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만큼 최고가 아니라도 유일한 걸 찾으면 선도 기술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한국 우주개발, 기술 중심서 목표 중심으로 바꿔야"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은 26일 "발사체가 우주개발 분야에서 큰 비용을 차지하고 주력이 되는 게 아쉽다"며 "한시라도 빨리 핵심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하면 차세대 발사체 개발 목표인 2032년보다 빨리 발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박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가 주최한 '제2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에서 "우주개발 선진국으로 나가려면 공공우주 핵심 기술을 빠르게 우주 산업계로 이전시켜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앞두고 기술 소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우주항공청 내 다른 산하기관장이 기업에 빠른 기술이전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그는 미국의 사례를 보면 공공우주 개발 부문에서 발사체 개발을 전부 민간에 이양하고 천체망원경이나 우주선, 우주정거장 등 심우주 탐사에 주력하고 있다며 선진국들의 방향 전환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1957년 처음 발사체 개발에 성공한 러시아에 비해 우리는 60년 이상 뒤져 있고 이는 국제경쟁력이 없다는 것"이라며 "발사체 개발을 해야 하겠지만 국가에서 주력으로 해야 할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핵심기술을 과감하게 빨리 이전시켜야지 붙잡고 있으면 우주개발에서 뒤처진다"며 민간에 기술을 이양하면 방법이 만들어지고 선도 기술이 나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지금까지 한국의 우주개발이 기술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목표를 중심으로 기술이 따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해외에서는 200㎏짜리 로봇을 실어 가겠다고 하면 이를 실을 공간을 갖춘 위성체를 개발하고 이 무게를 들어 올릴 발사체를 만드는데 우리는 발사체부터 만들고 위성체를 맞춰 무게에 따라 임무를 정하는 방식으로 거꾸로 갔다"며 "이러면 새로운 기술을 절대 개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심우주 탐사의 경우 해외에서도 기껏해야 2010년대부터 시작했다"며 "심우주 탐사는 굉장히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만큼 최고가 아니라도 유일한 걸 찾으면 선도 기술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