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중순 이후 순차 개각…'장수 장관' 교체시 중폭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총리 사실상 유임, 복지·행안장관은 현안 해결 후 교체
저출생수석 내달 초 임명 목표로 '4명+α' 검증…대통령실 개편도 병행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 달 중순 이후 순차적으로 개각을 단행할 전망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달 중은 어렵고 7월 중순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 번에 몰아서 발표하지 않고 검증이 완료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보 압축과 검증, 세평 확인 등에 적어도 수 주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7월 중순 이후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것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장관급 인사인데 여러 명을 동시에 검증에 올릴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달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현재까지는 일부 차관급 인사를 제외하고 기존 진용을 유지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그동안 국면 전환을 위한 개각에 부정적이었던 만큼 속도를 내기보다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가장 적합한 인사를 발탁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렇게 인선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데다 4월 총선과 5월 말부터 이어진 윤 대통령의 외교 일정 등으로 인사 작업 자체가 물리적으로 어려웠던 점도 개각 시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검증이 끝난 인사부터 발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다음 달 23일로 예정된 국민의힘 전당대회도 변수로 등장했다.
나경원·원희룡·윤상현·한동훈(이상 가나다순) 등이 대표 후보로 나선 전당대회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도를 높여 여권 전체의 지지율 상승을 견인해야 하는 시기에 장관 후보자가 발표될 경우 야당의 검증 공세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칫 컨벤션 효과가 반감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개각 대상은 2022년 정부 출범과 함께 취임한 장관들이 우선 거론된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한 2년간 정부 출범 이후 장관직을 맡은 분들"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 6명이 이른바 '장수 장관'으로 꼽힌다.
이들을 모두 교체할 경우 전체 19개 부처 장관의 3분의 1이 바뀌는 '중폭 개각'이 이뤄지게 된다.
후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경우 21대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으로 활동한 국민의힘 박성중 전 의원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박 전 의원은 지난 4월 총선에서 자신의 서울 서초을 지역구가 아닌 경기 부천을에 출마해 낙선했다.
여기에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 자리도 교체 대상으로 언급된다.
이 자리에도 총선에서 낙선한 김완섭 전 기획재정부 2차관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유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부처 현안에 따라 일부 부처 장관은 재임 기간과 관계없이 유임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대표적으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 개혁 문제가 마무리될 때까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의대 증원에 따른 의료계 집단행동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조 장관을 교체할 경우 자칫하면 문책성 인사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역시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수습과 8월 10일까지인 윤희근 경찰청장의 후임 인선을 비롯한 경찰 인사 마무리를 위해 당분간 개각 대상에 오르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총선 직후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국무총리도 사실상 유임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 인준이 필요한 총리 교체는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대통령실 내에서 한 총리의 후임자를 발탁하기 위한 인선 작업도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신설키로 한 저출생수석은 내달 초 임명을 목표로 막바지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때 '40대 워킹맘'이 인선 '컨셉트'로 떠올랐으나, 현재는 성별을 가리지 않고 '4명+α' 가량으로 후보를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출산과 육아를 직접 체험한 여성을 우선 발탁해야 한다는 의견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또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 중 여성이 없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이 밖에 정부 출범과 함께 비서관으로 대통령실에 근무했던 '원년 멤버'들을 대상으로 한 차관급 인사와 후속 대통령실 개편도 병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저출생수석 내달 초 임명 목표로 '4명+α' 검증…대통령실 개편도 병행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 달 중순 이후 순차적으로 개각을 단행할 전망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달 중은 어렵고 7월 중순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 번에 몰아서 발표하지 않고 검증이 완료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보 압축과 검증, 세평 확인 등에 적어도 수 주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7월 중순 이후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것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장관급 인사인데 여러 명을 동시에 검증에 올릴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달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의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현재까지는 일부 차관급 인사를 제외하고 기존 진용을 유지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그동안 국면 전환을 위한 개각에 부정적이었던 만큼 속도를 내기보다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가장 적합한 인사를 발탁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렇게 인선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데다 4월 총선과 5월 말부터 이어진 윤 대통령의 외교 일정 등으로 인사 작업 자체가 물리적으로 어려웠던 점도 개각 시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검증이 끝난 인사부터 발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다음 달 23일로 예정된 국민의힘 전당대회도 변수로 등장했다.
나경원·원희룡·윤상현·한동훈(이상 가나다순) 등이 대표 후보로 나선 전당대회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도를 높여 여권 전체의 지지율 상승을 견인해야 하는 시기에 장관 후보자가 발표될 경우 야당의 검증 공세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칫 컨벤션 효과가 반감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개각 대상은 2022년 정부 출범과 함께 취임한 장관들이 우선 거론된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개각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한 2년간 정부 출범 이후 장관직을 맡은 분들"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 6명이 이른바 '장수 장관'으로 꼽힌다.
이들을 모두 교체할 경우 전체 19개 부처 장관의 3분의 1이 바뀌는 '중폭 개각'이 이뤄지게 된다.
후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경우 21대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으로 활동한 국민의힘 박성중 전 의원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박 전 의원은 지난 4월 총선에서 자신의 서울 서초을 지역구가 아닌 경기 부천을에 출마해 낙선했다.
여기에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 자리도 교체 대상으로 언급된다.
이 자리에도 총선에서 낙선한 김완섭 전 기획재정부 2차관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유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부처 현안에 따라 일부 부처 장관은 재임 기간과 관계없이 유임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대표적으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 개혁 문제가 마무리될 때까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의대 증원에 따른 의료계 집단행동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조 장관을 교체할 경우 자칫하면 문책성 인사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역시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수습과 8월 10일까지인 윤희근 경찰청장의 후임 인선을 비롯한 경찰 인사 마무리를 위해 당분간 개각 대상에 오르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총선 직후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국무총리도 사실상 유임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 인준이 필요한 총리 교체는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대통령실 내에서 한 총리의 후임자를 발탁하기 위한 인선 작업도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신설키로 한 저출생수석은 내달 초 임명을 목표로 막바지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때 '40대 워킹맘'이 인선 '컨셉트'로 떠올랐으나, 현재는 성별을 가리지 않고 '4명+α' 가량으로 후보를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출산과 육아를 직접 체험한 여성을 우선 발탁해야 한다는 의견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또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 중 여성이 없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이 밖에 정부 출범과 함께 비서관으로 대통령실에 근무했던 '원년 멤버'들을 대상으로 한 차관급 인사와 후속 대통령실 개편도 병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