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이면의 위험은 이주노동자에 전가…예견된 참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 아리셀 공장 앞서 규탄 기자회견
이주노동자 단체들도 참여…"이 땅에 죽으러 오지 않았다"
"리튬 배터리가 '신산업'으로 불리며 성장하는 사이에도 방재 대책은 전무했고, 위험은 이주 노동자들에게 전가됐습니다.
"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6일 오전 10시 경기 화성시 소재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 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위원회는 민주노총 경기본부, 이주노동자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 사회 단체와 종교 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30명이 참석했다.
김진희 민주노총 경기본부장은 "참사 후 하나둘씩 드러나는 내용들은 마치 참사가 예견됐던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다수의 법 위반이 밝혀지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쓰러진 노동자들의 명복을 비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언론에 보도된 것만 봐도 아리셀과 파견업체 메이셀의 관계는 일반적이지 않아 보인다"며 "메이셀은 서류상 제조업이고 위치가 아리셀 본사인 것을 보면 도급업체를 위장해 불법 파견을 지속하려고 한 의도가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모두가 예견된 참사라고 한다.
리튬 배터리의 화재 취약성은 여러 전문가에 의해 지속해 제기됐으나 방재 기준과 대책은 전무했다"며 "기존에 반복되던 우려가 이번 참사를 통해 현실화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산업으로 주목받은 리튬 배터리의 수요와 설비가 증대되는 사이 화재 취약성에 대한 방재 대책은 달라지지 않았다"며 "비용 절감을 이유로 위험은 가장 낮은 곳으로, 이주 노동자로, 여성 노동자로 향했다"고 덧붙였다.
이주노동자 노조에서도 지적에 가세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이 일하는 현장은 아주 열악하고 안전하지 않다.
노동자들은 항상 산업체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정부와 사업주들은 이 노동자들의 생명보다 이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주 노동자들은 이 땅에 죽으러 오지 않았다"며 "한 해 백명이 넘는 이주 노동자들의 사망 문제에 대해 한국 사회, 정부가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자들에 대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전날 공개된 발화 당시 CCTV를 보면 최초 폭발이 발생했는데도 주변에 놓인 완제품을 치우려 한다거나 자체 진화 시도로 대피가 늦어지는 등 대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안전시설이 잘돼 있고 노동자들에게 안전교육, 화재 대피에 대한 훈련이 돼 있었다면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현장에는 전국의 이주민단체로 구성된 화성공장화재이주민공동대책위원회도 참석해 연대의 뜻을 밝혔다.
위원장을 맡은 박천응 목사는 "이번 참사는 우리 사회가 외면해온 이주 노동자들의 안전과 인권 문제가 낳은 예견된 비극"이라며 "더 이상 이들의 희생을 외면 말고 그들의 인권과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24일 오전 10시 30분께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에서 난 불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사망자 중 5명은 내국인, 18명은 이주 노동자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자의 시신 훼손이 심해 현재까지 전체 사망자 중 3명의 신원만 확인된 상태이다.
/연합뉴스
이주노동자 단체들도 참여…"이 땅에 죽으러 오지 않았다"
"리튬 배터리가 '신산업'으로 불리며 성장하는 사이에도 방재 대책은 전무했고, 위험은 이주 노동자들에게 전가됐습니다.
"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6일 오전 10시 경기 화성시 소재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 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위원회는 민주노총 경기본부, 이주노동자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 사회 단체와 종교 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30명이 참석했다.
김진희 민주노총 경기본부장은 "참사 후 하나둘씩 드러나는 내용들은 마치 참사가 예견됐던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다수의 법 위반이 밝혀지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쓰러진 노동자들의 명복을 비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언론에 보도된 것만 봐도 아리셀과 파견업체 메이셀의 관계는 일반적이지 않아 보인다"며 "메이셀은 서류상 제조업이고 위치가 아리셀 본사인 것을 보면 도급업체를 위장해 불법 파견을 지속하려고 한 의도가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모두가 예견된 참사라고 한다.
리튬 배터리의 화재 취약성은 여러 전문가에 의해 지속해 제기됐으나 방재 기준과 대책은 전무했다"며 "기존에 반복되던 우려가 이번 참사를 통해 현실화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산업으로 주목받은 리튬 배터리의 수요와 설비가 증대되는 사이 화재 취약성에 대한 방재 대책은 달라지지 않았다"며 "비용 절감을 이유로 위험은 가장 낮은 곳으로, 이주 노동자로, 여성 노동자로 향했다"고 덧붙였다.
이주노동자 노조에서도 지적에 가세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이 일하는 현장은 아주 열악하고 안전하지 않다.
노동자들은 항상 산업체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정부와 사업주들은 이 노동자들의 생명보다 이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주 노동자들은 이 땅에 죽으러 오지 않았다"며 "한 해 백명이 넘는 이주 노동자들의 사망 문제에 대해 한국 사회, 정부가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자들에 대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전날 공개된 발화 당시 CCTV를 보면 최초 폭발이 발생했는데도 주변에 놓인 완제품을 치우려 한다거나 자체 진화 시도로 대피가 늦어지는 등 대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안전시설이 잘돼 있고 노동자들에게 안전교육, 화재 대피에 대한 훈련이 돼 있었다면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현장에는 전국의 이주민단체로 구성된 화성공장화재이주민공동대책위원회도 참석해 연대의 뜻을 밝혔다.
위원장을 맡은 박천응 목사는 "이번 참사는 우리 사회가 외면해온 이주 노동자들의 안전과 인권 문제가 낳은 예견된 비극"이라며 "더 이상 이들의 희생을 외면 말고 그들의 인권과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24일 오전 10시 30분께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에서 난 불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사망자 중 5명은 내국인, 18명은 이주 노동자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자의 시신 훼손이 심해 현재까지 전체 사망자 중 3명의 신원만 확인된 상태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