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가 26일 오전 경기도청 1층 로비에 설치된 화성 공장 화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지사가 26일 오전 경기도청 1층 로비에 설치된 화성 공장 화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화성 공장화재 사건 이후 최우선 해야 할 일로 산업안전과 이주노동자 대책 등을 꼽았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아침 경기도청사 1층 로비에 마련된 ‘화성 공장 화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조문을 마친 후 언론과 만나 이런 내용을 담은 사고 수습과 추가 대책 등에 대해 설명했다.

김 지사는 우선 시신 수습과 신원 확인, 유가족 뜻에 따른 장례 등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전제한 후 앞으로 해야 할 일로 확실한 산업안전과 이주노동자 대책 추진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유해 물질 또는 안전에 취약한 산업현장이나 공장에 대해 실질적인 산업안전대책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파견 근로자 형식으로 와서 일했던 분들이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교육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을 위한 안전 교육에 대해 면밀히 짚어보겠다”라고 덧붙였다.

또 김 지사는 이주노동자 대책에 대해 안전과 의료, 주거, 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우리 기업에 와서 일하는 분들이다. 차별 없이 안전 문제부터 챙겨야겠다고 생각했다”면서 “안전 문제와 의료문제부터 시작해서 실효적인 대책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산업안전이나 이주노동자 대책에 대해 경기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이태원 참사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말로 만의 성찬이 아닌 실천을 앞세우는 확실한 경기도의 방식으로 다르게 해 보겠다”라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아울러 김 지사는 “사고 나자마자 바로 현장에 달려간 것이나 세 차례에 걸쳐 현장 브리핑을 한 것은 정부가 잘못 대응했던 것에 대한 경기도 나름의 타산지석이다”라며 “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첫걸음이 원인과 책임 소재 규명 그리고 제대로 된 대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는 이런 일 없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는 수원시 광교의 경기도청사와 의정부시 도 북부청사 등에 이번 화재 사고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합동분향소를 설치하고 조기를 게양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8시 30분에 광교 청사 1층 로비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아 헌화하고, 조문록에 ‘삼가 명복을 빕니다. 산업안전, 이주노동자 대책 다시 점검하고 제대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