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27일 예고했던 무기한 휴진을 강행하기로 했다. 다만 병원장 등이 교수들에게 휴진 철회를 요구하는 등 사전 대응에 나서 실제 휴진율은 높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연세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중증도가 높지 않은 일반 환자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시술 등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들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휴진하더라도 입원 병동과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 필수 분야 업무는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휴진이 교수 개인 결정에 따라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12일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등 3개 병원 교수들이 속한 연세대의대 교수 비대위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겠다고 결의했다. 이들은 정부가 의료대란과 의대 교육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가시적 조치를 할 때까지 휴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의대 비대위가 24일 휴진을 중단하면서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 동력이 약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후 성균관대의대, 가톨릭대의대 교수들은 추가 휴진 논의를 중단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들과 달리 연세대의대 교수들은 휴진을 강행하되 교수 자율 선택에 맡기기로 방침을 정했다. 다만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날 이강영 세브란스병원장, 최진섭 연세암병원장, 송영구 강남세브란스병원장, 김은경 용인세브란스병원장 등이 소속 교수들에게 휴진 철회를 요청하면서다.

원장단은 내부 임직원 대상 메일 등을 통해 “139년간 연속된 진료는 앞으로도 멈출 수 없다”며 “세브란스병원을 찾는 환자 대부분은 중증 질환으로 고통받는 분들이고, 이들에 대한 진료와 치료는 미룰 수 없는 사명”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이 사실상 휴진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지난 17일부터 1주일간 휴진했던 서울대의대도 김영태 병원장이 휴진을 불허한 뒤 환자 예약 변경 등의 업무가 고스란히 의대 교수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교수들에게 이런 추가 업무 부담이 더해지면서 실제 진료 일정이 변경돼 환자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많지 않았다. 연세대의대에 이어 울산대의대는 다음달 4일부터 1주일간 휴진을 예고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