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무기 수리인력 우크라 파견 허용 만지작
미국이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자국 기업의 무기 수리 인력 파견을 허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미국 CNN 방송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이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이 제공한 무기의 유지보수를 돕기 위해 국방부와 계약한 미국 기업을 우크라이나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정책은 아직 조 바이든 대통령의 최종 승인은 받지 못했다.

다만 승인이 이뤄진다면 올해 안에 시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이는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정책에 있어 큰 변화라고 짚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전쟁 발발 이후 자국 군대와 국민들이 전선 가까이 가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왔다.

우크라이나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미국이 제공한 무기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면 폴란드나 루마니아 혹은 인근의 다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소속 국가로 옮겨 수리해왔다.

일상적인 유지보수도 보안이 되는 전화를 이용한 원격 영상 채팅을 통해서만 진행했다.

이런 과정은 직접 수리할 수 없어 본질적인 한계가 있고 시간도 오래 걸리지만 그간 미국인을 우크라이나에 보내지 않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의중은 확고했다.

그러나 최근 전세가 우크라이나에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미국 정부의 고심도 깊어졌고, 결국 무기 수리 속도를 높이고 전장에서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군 계약 업체의 파견을 검토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CNN은 과거 아프가니스탄이나 이라크 사례 때처럼 광범위한 파견이 이뤄질 가능성은 적으며 한 번에 수십명에서 수백명 정도가 우크라이나에 파견돼 일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