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수장 10년만에 교체…대러 결속 최우선 과제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새 수장으로 확정됐다.

뤼터 총리는 26일(현지시간) 나토 의사결정 기구인 북대서양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차기 사무총장으로 지명돼 10월부터 4년 임기를 시작한다.

뤼터 총리가 마주칠 상황은 녹록지 않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 계속되면서 안보 정책의 '상수'가 된 데다 취임 한 달 뒤엔 미국 대선이 기다리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한다면 '대서양 동맹'은 현상 유지되겠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한다면 판도는 크게 바뀔 수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방위비 분담 문제를 둘러싸고 나토의 유럽 회원국들과 내내 갈등을 빚었으며 나토 탈퇴를 공언하기도 했다.

AFP 통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뤼터 총리로선 14년간 각종 스캔들 속에서도 네덜란드 연정을 이끌며 습득한 외교력을 총동원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간 나토를 이끈 옌스 스톨텐베르그 현 사무총장의 성과 중 하나도 트럼프 정부와 갈등을 비교적 잘 봉합해 나토의 와해를 막았다는 점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피로감'을 줄이고 지원을 놓고 나토 내부에서 커지는 이견을 조율하는 일도 새 사무총장의 과제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의 99%는 미국을 비롯한 나토 회원국에서 나왔다. 이 과제 역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과 맞닿아 있다.

로이터 통신은 트럼프 진영 내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평화 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무기 제공을 중단하는 방안이 검토됐다고 전날 보도했다.

뤼터 총리가 '푸틴 저격수'라는 별칭을 얻을 만큼 대러시아 강경론을 주도해왔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은 힘을 받겠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상황이 복잡하게 꼬일 수 있다.

단일국가로 군사원조 비중이 가장 큰 미국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줄일 경우 나머지 나토 회원국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이는 내부 결속을 해치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양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안보 무임승차' 공세의 근거인 방위비 증액 현안을 어떻게 풀어갈지도 관심사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를 다지면서도 러시아와 나토 간 직접 충돌에 이르지 않기 위해 강경 일변도 보다는 적절한 위기관리가 필요하다는 주문도 일각에서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