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美상의·日게이단렌 '맞손'…3국 비즈니스 대화 정례화
"공통 경제이슈, 국제무대에서 한 목소리 내자"
한미일 민간 경제계 협의체 출범…"3각 경제협력 도모"
한미일 3국의 주요 경제단체가 경제 안보·기술 분야에서의 3각 협력을 도모하고 장기적 경제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와 미국상공회의소, 일본 게이단렌(經團連·경제단체연합회)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제1차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개최했다고 한경협이 27일 전했다.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는 같은 날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산업장관회의와 연계해 마련됐다.

3국 경제단체 대표들은 이번 회의에서 3국 정부 인사들이 임석한 가운데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민간 경제계 협의체의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이들 단체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연 1회 이상 정례화하고, 3국 정상 또는 정부 간 회의와 연계해 개최하기로 했다.

또 3국 경제단체는 정보기술(IT) 혁신, 디지털 경제 및 제조업, 에너지,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 지속적 정보 교환과 무역·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을 이어가기로 했다.

3국의 공통 경제 이슈와 관련해서는 국제무대에서 함께 목소리를 낸다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한미일 민간 경제계 협의체 출범은 지난해 8월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도출된 '3국 간 포괄적 협력을 위한 합의'를 계승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또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에 이은 토론에는 삼성전자, SK, 현대차, 포스코, 한화 등 8개 한국 기업이 참여했다.

미국에서는 인텔, 퀄컴, 아마존, 구글 등 10개 기업이, 일본에서는 도요타, 소니 등 8개 기업이 참여했다.

이들 기업은 '한미일 경제협력 현황 및 회복 탄력적 성장방안'을 주제로 무역 및 첨단산업, 에너지와 분쟁 광물 등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에서 "오늘 3국 기업들이 나눈 산업협력의 미래 비전이 현실이 되도록 한국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산업·경제 분야 3각 협력이 문서로 제도화됐다는 점에서 경제계는 더욱 안정적인 3국 경제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