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연평해전 참전용사 권기형 씨. /사진=칠곡군 제공
제2연평해전 참전용사 권기형 씨. /사진=칠곡군 제공
"비록 북한군의 불법 도발로 제 손은 으스러졌지만, 영광의 상처를 간직한 왼손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합니다"

제2연평해전 참전용사 권기형(43) 씨가 북한군 포탄에 관통당해 으스러진 왼손으로 '숫자 7'을 그리며 이같이 말했다.

권 씨는 이달 29일인 제2연평해전 22주년을 사흘 앞둔 26일,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서 현역 때 입던 정복 차림으로 '럭키칠곡 포즈'(숫자 '7' 모양)를 취했다.

이는 6·25 최대 격전지였던 칠곡군의 첫 글자 '칠'과 발음이 같은 숫자 7'을 그린 것이다. '평화를 가져다준 행운의 칠곡'을 의미한다.

권 씨는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돼 더 이상 자신처럼 안타까운 희생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부상을 입은 손으로 이 포즈를 취했다.

현재 경북 칠곡군 한 방산업체에 근무 중인 권 씨는 제2연평해전 당시 북한 함정의 기관 포탄에 k-2 총열 덮개와 왼손 손가락이 통째로 날아갔지만 개머리판을 겨드랑이에 지지해 탄창 4개를 한 손으로 교환하면서 계속 응사했다.

총탄으로 크게 다친 손마디 뼈는 엉덩뼈를 이식하고 손목의 살로 복원했지만,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진 않다. 지금도 진통제가 없으면 통증으로 잠에 들기 어려울 때가 있는 상황이다.

권 씨는 "제2연평해전 기념일이 다가오면 제 왼손의 상처가 더욱 아려온다"며 "앞으로 누군가의 손이 저처럼 고통받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많은 분이 외상보다 큰 마음속 상처를 갖고 있지만 긍지와 자부심 하나로 살고 있다"며 "대한민국을 위한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고 기억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영광의 상처가 기억될 수 있도록 일상의 보훈 문화 확립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