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이달 27일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2024'에 참가해 구글의 차세대 AI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한 ‘LG 클로이(CLOi)’ 로봇을 첫 공개한다. 사진은 구글의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LG 클로이 가이드봇. (사진=LG전자)
LG전자가 구글의 차세대 초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를 탑재한 'LG 클로이 가이드봇'을 최초로 공개한다.

LG전자는 27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에서 제미나이를 접목한 클로이 로봇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제미나이는 구글의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AI) 앱 개발 플랫폼 '버텍스 AI'에 탑재된 생성형 AI로, 텍스트를 비롯해 음성, 이미지, 코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령을 받는 멀티모달 모델이다. 클로이 로봇에 생성형 AI가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이날 전시 부스에서 제미나이를 탑재한 클로이 가이드봇의 실물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고객의 질문에 자연스럽게 답변하는 AI 챗봇 기능과 음성 명령으로 원하는 사진 배경 이미지 생성 등을 시연할 예정이다.

기존 클로이 로봇은 사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객 안내, 광고, 보안, 도슨트 등을 수행했지만, 미리 등록되지 않은 질문에 대한 답변은 한정적이었다.

반면 제미나이를 통해 언어 능력을 강화한 이번 클로이 로봇은 고객과 대화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사 질문을 스스로 생성해낸다. 또 사전에 예측하지 못한 돌발 질문에도 검색을 통해 자연스러운 답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운영 시간 안내해 줘"라고 질문하면 사전에 입력된 답변을 전달하는 데 그쳤다면, 생성형 AI가 적용된 클로이는 "언제까지 입장 가능해?", "오늘 영업 중이야?" 등 유사 질문을 스스로 생성하며 다양한 형태의 질문에 답한다. "가장 큰 고래는 뭐야?" 등의 돌발 질문에도 "가장 큰 고래는 대왕고래로 몸길이가 24~33m까지 자란다"고 자연스럽게 답변한다.

LG전자는 연내 구글의 생성형 AI를 탑재한 클로이 가이드봇을 출시하고, 기존 출시된 안내 로봇에도 무선 SW 업데이트를 통해 제미나이의 생성형 AI 기능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최근 글로벌 빅테크들도 AI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세계 AI 로봇 시장 규모는 연평균 약 25% 성장세를 지속하며 오는 2030년 약 643억 5천만 달러(한화 약 90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LG 클로이는 LG전자의 AI 비전 '공감지능'이 적용된 대표적인 제품이다. 특히, 서비스 로봇은 고객과 가장 가까운 곳에 밀착해 다양한 질문이나 주변 환경을 스스로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점에서 LG전자의 고도화된 AI 기술 역량과 노하우가 필수라는 설명이다.

앞서 조주완 CEO는 글로벌 AI 전문가들을 초청한 '북미 테크 콘퍼런스'에서 "산업 전반에 AI,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나고 있다"며 "이러한 가능성은 다양한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 온 LG전자에 또 다른 기회 영역"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번 협업을 통해 AI 로봇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그간 로봇 사업으로 쌓아온 솔루션과 데이터 등을 빅테크의 AI 기술과 결합해 미래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은 "LG전자가 쌓아온 고도화된 AI 로봇 기술 역량과 빅테크 기업의 AI 플랫폼 기술 시너지를 통해 미래 신사업인 로봇 분야에서 고객경험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서후기자 after@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