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평균 혼인 연령대인 30~34세 청년 중 절반 이상은 미혼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보다 미혼율이 3배가량 높아졌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27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여름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선 인구주택총조사 자료(2000~2020년)를 토대로 지난 20년간 청년세대의 인구, 경제활동, 혼인 등의 변화 모습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세대 혼인율은 꾸준히 감소해 2020년 기준 81.5%(783만7000명)가 혼인하지 않은 상태였다. 남성 미혼율은 2000년 62.4%에서 2020년 86.1%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여성 미혼율은 47.2%에서 76.8%로 올랐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녀 모두 25~29세와 30~34세 미혼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다. 2020년 기준 30~34세 청년의 경우 두 명 중 한 명 이상(미혼율 56.3%)이 미혼이었다. 2000년(18.7%)에 비해 약 3배 높아진 것이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 미혼율이 더 빠르게 증가했다. 평균 혼인 연령대인 30~34세의 미혼 비율을 보면 남성은 2000년 27.0%에서 2020년 65.9%로 약 2.5배 높아졌다. 같은 기간 여성 미혼율은 10.3%에서 45.9%로 약 4.5배 뛰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면서 결혼을 늦게 하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청년 인구는 지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기준 인구 열 명 중 두 명이 청년이지만 2050년에는 인구 열 명 중 한 명만이 청년일 것이란 관측이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