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예심 빨라지나"…거래소, 특례상장 업종별 전담심사팀 꾸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청 순서 상관없이 심사 이슈 적은 기업부터 우선처리
심사 청구 전 주관사가 심사 이슈 해소토록 유도키로
심사 청구 전 주관사가 심사 이슈 해소토록 유도키로
한국거래소가 상장예비심사 적체 해소에 나선다. 우선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하는 기업의 업종에 따라 심사할 전담팀을 꾸린다. 상장예비심사는 신청 순서대로가 아니라 심사 난이도를 판단해 빠르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기업부터 처리하기로 했다. 또 주관사와 상장예비심사 신청 전에 협의해 심사 이슈가 심각한 기업은 해당 이슈를 해소한 뒤 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27일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상장예비심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뻥튀기 상장’ 논란을 일으킨 파두 사태로 인해 거래소가 일부러 상장예비심사를 지연시키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한다.
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지연의 배경으로 기술특례상장 신청 증가를 꼽았다. 기술성을 갖춘 기업이 완화된 재무요건으로 증시에 상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다. 이 제도를 활용하는 기술기업에 대한 심사는 전문가 회의 등 일반기업 대비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고, 재무성과와 같은 정량적인 판단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워 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된다고 거래소는 설명한다. 전체 상장예비심사 신청 기업 중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한 기업의 비중은 2021년 36.4%(48개), 2022년 36.9%(45개), 2023년 43.6%(58개), 2024년 4월까지 47.2%(17개) 등 매년 확대돼왔다.
이에 따라 거래소는 기술심사의 전문성을 키우기로 했다.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한 기업은 일반 기업 심사와 완전히 분리해 심사 처리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하는 기업들을 심사하는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 업종을 정해 전문성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기술심사1팀은 바이오업종을, 2팀은 정보통신기술(ICT)와 서비스 업종을, 3팀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테마 중심의 제조업을 각각 전담한다.
상장예비심사 절차와 관행도 개선해 심사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우선 심사 중 드러나는 문제를 해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상해 빠르게 심사를 완료할 수 있는 기업부터 우선처리하기로 했다. 또 주관사와 사전협의를 활성화해 주요 이슈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를 해소한 뒤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밀려 있는 상장예비심사 신청 기업을 심사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단기간 안에 심사 적체를 해소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심사 기준을 바꾸지는 않기로 했다. 상장심사 지연 해소 조치가 투자자 보호 기능 부실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거래소는 이번 방안 시행에 따른 심사 전문화를 통해 심사 인력의 관련 기술 전문지식이 축적되고, 이는 심사 역량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대대로 되면 심사품질 향상과 심사기간 단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심사 이슈의 경중에 따라 처리 기간을 차등화하는 방안이 시행되면 주관사에 의한 자율적인 이슈 정비가 신청 전에 이뤄져 심사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거래소는 예상하고 있다.
향후에도 거래소는 심사지연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 효율화와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거래소는 27일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상장예비심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뻥튀기 상장’ 논란을 일으킨 파두 사태로 인해 거래소가 일부러 상장예비심사를 지연시키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한다.
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지연의 배경으로 기술특례상장 신청 증가를 꼽았다. 기술성을 갖춘 기업이 완화된 재무요건으로 증시에 상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다. 이 제도를 활용하는 기술기업에 대한 심사는 전문가 회의 등 일반기업 대비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고, 재무성과와 같은 정량적인 판단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워 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된다고 거래소는 설명한다. 전체 상장예비심사 신청 기업 중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한 기업의 비중은 2021년 36.4%(48개), 2022년 36.9%(45개), 2023년 43.6%(58개), 2024년 4월까지 47.2%(17개) 등 매년 확대돼왔다.
이에 따라 거래소는 기술심사의 전문성을 키우기로 했다.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한 기업은 일반 기업 심사와 완전히 분리해 심사 처리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기술특례 상장을 신청하는 기업들을 심사하는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 업종을 정해 전문성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기술심사1팀은 바이오업종을, 2팀은 정보통신기술(ICT)와 서비스 업종을, 3팀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테마 중심의 제조업을 각각 전담한다.
상장예비심사 절차와 관행도 개선해 심사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우선 심사 중 드러나는 문제를 해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상해 빠르게 심사를 완료할 수 있는 기업부터 우선처리하기로 했다. 또 주관사와 사전협의를 활성화해 주요 이슈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를 해소한 뒤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밀려 있는 상장예비심사 신청 기업을 심사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단기간 안에 심사 적체를 해소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심사 기준을 바꾸지는 않기로 했다. 상장심사 지연 해소 조치가 투자자 보호 기능 부실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거래소는 이번 방안 시행에 따른 심사 전문화를 통해 심사 인력의 관련 기술 전문지식이 축적되고, 이는 심사 역량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대대로 되면 심사품질 향상과 심사기간 단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심사 이슈의 경중에 따라 처리 기간을 차등화하는 방안이 시행되면 주관사에 의한 자율적인 이슈 정비가 신청 전에 이뤄져 심사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거래소는 예상하고 있다.
향후에도 거래소는 심사지연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 효율화와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