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가 2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호텔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 사진=오현아 기자
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가 2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호텔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 사진=오현아 기자
스카이랩스는 세계 최초 반지형 혈압계 '카트비피'의 보험급여가 결정됐다고 2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혔다.

스카이랩스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주 병·의원의 카트비피 처방에 대해 의료행위 수가를 인정했다. 기존에 24시간 연속혈압측정기(ABPM)로 측정해왔던 활동 혈압 감시가 더욱 편리해지면서 환자들의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카트비피는 기존의 팔 압박형 측정 방식이 아닌 반지형 커프리스 연속혈압측정기로, 첨단 바이오센서인 광혈류측정센서(PPG)가 혈류량을 측정한다. 수집된 혈압 데이터를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축적된다.

의료 현장에서는 그동안 혈압관리에 있어 병원에서 혈압이 높아지는 '백의 고혈압'이나 '간헐적 고혈압' 등의 이슈가 오랜 관심사였다. 이에 일상생활을 하면서 24시간 연속혈압측정의 중요성이 강조돼 왔다. 다만 기존 기기는 어깨에는 측정기기, 팔에는 커프를 둘러야 해서 행동의 제약과 수면 장애 등 환자들의 불편함이 컸다.

카트비피는 24시간동안 반지처럼 끼고만 있으면 돼서 불편함을 크게 줄였다는 설명이다. 박선희 스카이랩스 이사는 "인공지능(AI)가 측정값을 보정해줘 혈압을 잴때마다 심장 높이로 올려서 잴 필요없이 평소처럼 일상생활에 집중하면 된다"며 "향후 이에 대한 임상 논문도 제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카트비피는 그동안 여러 연구를 통해 ABPM, 동맥측정법, 청진법 등 기존의 혈압 측정 방식과 정확도를 비교해왔다. 그 결과 기존 혈압 측정방식과 유사한 혈압값을 보이며 기술의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해왔다.

카트비피는 7월부터 의료현장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박 이사는 "병·의원 등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카트비피로 24시간 혈압감시를 하는 데 들어가는 환자부담금은 약 5~6000원 정도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는 "카트비피의 보험 적용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헬스케어 산업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실용화가 되는 첫 걸음"이라며 "향후 카트비피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AI 빅데이터 분석이 이뤄진다면 국내는 물론 전 세계로 혈압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대가 도래할 것" 이라고 전망했다.

카트비피는 대웅제약과 국내 판권 계약을 맺고 국내 병의원 유통을 시작했다. 지난 3월에는 혈압계 제조 업체 1위 기업인 오므론헬스케어와 업무협약을 맺고 해외 진출을 노리고 있다. 박 이사는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까지는 미국과 유럽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며 "해외 인허가를 위한 대규모 인상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오현아 기자 5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