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기준 실태조사…"생산부터 판매까지 디지털 일상화"
국내 디지털산업 규모 1천142조…전체 산업 매출 13% 차지
우리나라 디지털산업 규모는 1천142조원으로 전체 산업 매출액의 13%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 디지털산업 실태조사'를 27일 발표했다.

이 자료는 2022년 국내 디지털산업의 현황을 담았다.

이번 조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을 준용해 기존에 조사해왔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뿐만 아니라 최근 확산하는 디지털 플랫폼 산업 등까지 범위를 넓혀 이뤄졌다.

주요 조사 결과를 보면 2022년 디지털산업 매출액은 1천142조원 규모로 전체 산업 매출액인 8천772조원의 13%, 국내 제조업 매출액인 2천501조원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 쇼핑몰·은행·그 외 디지털산업을 포괄하는 디지털 관련 산업 부문 매출이 389조4천억원으로, 휴대 단말기·반도체 등 디지털 기반 기기·부품과 통신·방송 등 디지털 기반 서비스로 구성된 디지털 기반 산업 부문(437조3천억원)보다 규모는 작지만 디지털산업 전체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디지털 플랫폼 제공 업체의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유형은 웹서치 포털(44.1%), 전자상거래 기반 플랫폼(28.4%), 커뮤니티(25.8%), 모바일 앱마켓(23.3%) 순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플랫폼 활용 업체를 대상으로 플랫폼 활용 시작 시점을 조사한 결과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코로나19 확산 시기였던 2020~2021년에 급격히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디지털산업에서 인터넷·모바일을 통해 상품을 주문받는 디지털 주문 매출액 비율은 58.4%로서 디지털 주문의 매출액이 비디지털 주문 매출액(41.6%)의 1.4배 규모로 집계됐다.

특히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이 포함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산업의 경우 디지털 주문은 66.4%를 차지했다.

디지털 기술 개발·도입 현황 조사에서는 디지털산업 사업체들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많이 개발·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화는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는 디지털 주문의 일상화와 같이 이미 국민 생활에 스며들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