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션 겸 작가로 서울국제도서전 참가…북토크 등 진행
미셸 자우너 "췌장암으로 떠난 엄마…잔소리가 그립습니다"
병원 한 번 가지 않을 정도로 건강한 엄마였다.

웬만한 병은 집에서 해결할 정도로 '억척'이었다.

그러던 엄마가 췌장암 4기 판정을 받았다.

김치를 먹지 못하는 사람과는 결혼도 하지 말라던 그녀는 병이 악화하자 그 좋아하던 김치마저 제대로 먹을 수 없게 됐다.

나중에는 홀로 움직일 수도, 먹을 수도 없었다.

"처음에는 고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어요.

열심히 엄마를 내가 돌보면 반드시 회복할 거라고. 그렇게 4개월 동안 부정했지만, 결국 그렇게 됐죠."
미셸 자우너(35)는 27일 서울 강남지역의 한 호텔에서 연합뉴스와 만나 어머니의 죽음을 이렇게 회고했다.

미셸 자우너 "췌장암으로 떠난 엄마…잔소리가 그립습니다"
자우너는 1인 밴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그가 2021년 발매한 음반 '주빌리'는 그해 빌보드 상반기 최고의 음반 50에 선정됐다.

그래미 어워즈 신인상인 '베스트 뉴 아티스트'와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작가로도 활동 중이다.

'H 마트에서 울다'(원제: Crying in H mart)는 미국에서 출간돼 격찬받았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 2022년 나와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책은 어머니의 죽음 과정과 밴드 탄생 과정을 교차해서 보여준다.

어린 시절의 따뜻했던 기억, 청소년 시절의 방황, 엄마와의 갈등, 아버지와의 서먹함, 정신적 붕괴와 음악에 대한 꿈 등을 엮었다.

그는 책을 쓰는 데에만 6년이 걸렸다고 했다.

자우너는 이날 '청춘의 부산물'인 이 책을 들고, 서울국제도서전에서 북토크를 진행한다.

"책 쓰는 건 정말 어려워요.

글의 구조를 생각해야 하고, 전체적으로 계산도 해야 합니다.

지적인 과정인데, 글을 쓸 때마다 제가 참 멍청하다고 느낍니다.

(웃음) 반면 음악은 좀 더 자연스러워요.

즉흥적이고, 즉자적이죠. 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선 음악이 더 익숙해요.

"
미셸 자우너 "췌장암으로 떠난 엄마…잔소리가 그립습니다"
음악은 엄마와의 관계에서 갈등의 뿌리이기도 했다.

엄마는 자우너가 변호사가 되길 바랐다.

"말싸움을 잘해서"라는 이유에서였다.

반면에 그는 음악가가 되고 싶었다.

반은 백인으로, 반은 한국인이라는 정체성 혼란 속에서 음악은 늘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그래서 영혼의 동반자인 음악에 헌신하고 싶었다.

"뮤지션이 될 가능성은 희박했고, 엄마는 그걸 너무도 잘 알았죠.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셨던 것 같아요.

아마 돌이켜보면, 그때 저에 대해 걱정했던 것 같아요.

"
엄마의 잔소리와 자우너의 반항이 이어지면서 모녀의 관계는 한때 극단으로 치달았다.

'머플러는 왜 안 했니' '크림을 바르고 나가렴' '얼굴에 팩을 해라' 등 자잘한 잔소리가 대양의 파도처럼 밀려왔다.

미국 서부에 살던 그가 동부에 있는 대학에만 지원하고, 그곳에서 쭉 살았던 이유는 어머니의 잔소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였다.

미셸 자우너 "췌장암으로 떠난 엄마…잔소리가 그립습니다"
그는 밴드로서 성공 가도를 달리고, 동부 생활도 익숙해졌을 무렵에 엄마의 암 소식을 들었다.

그는 당장 달려갔고, 최선을 다해 돌봤지만, 집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암이 너무 늦게 발견된 것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지 10년이 지났지만, 어렸을 때 그토록 듣기 싫던 잔소리가 지금은 너무도 그립다고 한다.

"큰이모가 잔소리할 때 너무 행복하고, 편안해요.

그 잔소리는 엄마를 떠올리게 해요.

엄마처럼 솔직하게 저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을 거예요.

제 단점을 있는 그대로, 직설적으로 말씀하시곤 하셨죠. 필터를 전혀 거치지 않고요.

남편도 가끔 잔소리하지만, 제 기분을 파악해가며 합니다.

엄마처럼 솔직히는 못 해요.

그때는 왜 그렇게 싫었는지 모르겠어요.

떠나보내고 나니, 엄마의 잔소리가 매우 그립습니다.

"
미셸 자우너 "췌장암으로 떠난 엄마…잔소리가 그립습니다"
엄마의 자취를 느껴보고자 그는 현재 엄마의 고향인 서울에서 살고 있다.

작년 12월 말에 들어와 '1년살이'를 하고 있다고 한다.

엄마는 어린 시절 '너는 한국에서 1년만 살면 충분히 한국말을 마스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뒤늦게 그 말을 실천 중이다.

반년은 연세대에서, 또 다른 반년은 서강대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기로 돼 있다.

엄마의 예측과는 달리 한국말을 어느 정도 하기에 "1년 이상 걸릴 것 같다"고 했다.

"한국어를 익히고, 한국 생활에 대한 책도 쓸 계획이에요.

한국에서 꼭 살고 싶었어요.

그간 너무 달려와서 휴식도 필요했고요.

좀 더 느린 삶을 살고 싶었어요.

느리게 살고 싶어서 온 곳이 '빨리빨리' 문화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회 중 하나인 한국이라니……. 삶이란 참 아이러니합니다.

(웃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