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장인화호 출범 100일 "2차전지 원료확보·생산으로 승부"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8일 취임 100일차를 맞는다. 취임 후 100일간 생산공장 및 연구소 현장 행보를 마친 장 회장의 핵심 사업 구상은 '2차전지 원료 확보 및 자체 생산'이다. 2차전지 벨류체인을 넓혀 소재 전단계인 리튬·니켈 등 원료 부문 리싸이클링 및 광산개발에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회사 내적으로는 특권타파, 조직 슬림화 등을 통해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 문화를 바꾸고 있다.

○"원료확보 핵심 수급처 개발"

포스코는 장 회장 취임 이후 원료확보 투자처로 '두개의 기둥'을 내세우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리싸이클링이다. 지난 25일 찾은 전남 광양 율촌 포스코HY클린메탈의 한 공장에는 1300t의 검은 가루가 쌓여있었다. 폐배터리를 갈아서 만든 일명 '블랙메스'다. 이 안에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 배터리 원료가 섞여있다.

황산을 이용해 각 원료를 분리해 뽑아내는 '침출' 공정과 광물 결정으로 만드는 '결정화' 과정까지 거치면 배터리에 사용되기전 그대로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송규영 포스코HY클린메탈 1공장장은 "핵심 광물인 리튬의 경우 리싸이클링으로 배터리용 일반사양인 순도 99.5% 이상으로 뽑아내고 있다"며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광물을 뽑아내기 위한 공정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맥킨지 등에 따르면 폐배터리가 쏟아지는 2030년 초반 이후에는 광산보다 오히려 리싸이클링을 통한 수급량이 많아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원료조달 및 소재 생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는 포스코 그룹이 리싸이클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다.

포스코HY클린메탈은 현재 연간 1만2000t가량의 블랙메스를 처리해 니켈 2700t, 탄산리튬 2500t, 코발트 800t, 망간 700t 등을 뽑아내고 있다. 블랙메스 수급 및 원료 생산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게 회사의 계획이다. 블랙메스 수급을 위해 현재 폴란드 등에 투자를 해놓은 상태다.
포스코 장인화호 출범 100일 "2차전지 원료확보·생산으로 승부"
또 다른 기둥인 광산 확보 및 생산에도 집중하고 있다. 지난 6월 포스코홀딩스 CSO(전략기획총괄)를 맡고 있는 정기섭 대표는 전세계 리튬 매장량 1위 국가인 칠레를 직접 찾았다. 총 1조 5000억원을 투자해 광산 개발 및 생산을 추진하고 있는 아르헨티나에 이어 또다른 투자처를 물색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침체로 2차전지 원료부문에 관심이 떨어진 지금이 오히려 투자적기라고 판단한 장 회장의 의중이 반영된 출장이었다. 장 회장은 임원들에게 "올해는 포스코 리튬 생산의 원년"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포스코HY클린메탈의 500m 가량 떨어진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공장에는 해외광산에서 조달한 리튬원석을 가공해 만든 리튬 포대들이 쌓여있었다. 지난해말 완공된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공장은 올해안에 연간 4만3000t 규모의 리튬 생산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니켈 생산 공장은 올 하반기 완공 예정이다.

포스코는 리싸이클링과 광산 조달을 통해서 2026년까지 리튬 총 9만6000t, 니켈 4만8000t을 자체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추가적인 조단위 투자가 예고되고 있다.

○슬림화를 위한 조직 개편 예고

장 회장은 회사 내적으로는 회사 운영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수평적 문화를 만들고 특권·권위를 타파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회사 주차장내 임원칸을 없앤 것이 특권타파의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외 출장에 여러 명의 비서진을 대동했던 이전 회장들과 달리 장 회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수행원을 동원하지 않고 있다. 최근 임원을 대상으로 한 스톡그랜트(주식보상제도)도 폐지했다. 장 회장 본인도 보상 폐지 대상이었다.

현장 실무진과의 직접적인 소통도 장 회장이 강조하는 부분이다. 지난 3월 장 회장은 광양제철소에서 만난 한 직원이 반바지 출근도 허용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였다. 포스코 그룹은 이후 반바지, 후드티, 아웃도어티, 샌들을 출근복으로 인정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다음달 대규모 조직개편도 예고하고 있다. 실용·효율 중심의 빠른 조직으로 만들겠다는게 장 회장의 그림이다. 앞서 포스코홀딩스는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과 인력 재배치를 검토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광양=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