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오가노이드 분야에 공모한 지자체 선정 안 해
도 "R&D 더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 기본 생태계 구축할 터"
전북도 "바이오 특화단지 유치 무산…관련 산업은 계속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공들인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특화단지 공모 중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분야에서 '합격자'가 나오지 않았다.

오택림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27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제6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가 이날 최종 심의·의결한 바이오 특화단지 공모에서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산업 분야에 선정된 지자체는 없었다"고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장기 기반 세포에서 분리한 세포를 배양, 재가공한 장기유사체로 신약 개발, 질병 치료, 인공장기 개발 등에 쓰인다.

오 국장은 "산자부는 현재 (공모에 참여한 지자체들의) 오가노이드와 관련한 산업화 기반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바이오 의약품 산업 분야의 특화단지만 지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 특화단지는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 등이다.

오 국장은 "오가노이드 분야 선정 지자체가 없는 이유를 공식적으로 파악하지 못했으나 R&D(연구·개발)가 더 필요하고, 이와 관련 산업단지 육성은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부연했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각종 규제 완화를 통해 오가노이드를 비롯한 레드바이오(보건·의료 분야의 바이오 기술)를 미래 먹거리로 삼으려 했던 전북으로서는 유치 무산에 대한 아쉬움이 클 수밖에 없다.

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바이오 분야 선두 기업인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넥스트앤바이오, 강스템바이오텍 등 16개 기업을 유치하고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에 힘을 모을 산·학·연·관 협의체를 출범시키는 등 온갖 노력을 기울여왔다.

도는 바이오 특화단지 미지정의 아쉬움을 뒤로 하고 계속해서 바이오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오 국장은 "특화단지 지정과 관계 없이 5∼10년을 장기투자 하면 바이오 기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 템포 쉬어가는 상황이지만 전열을 정비하고 더 긴장감을 가지면 관련 산업을 더 내실 있게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