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중국 e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공략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진출 초기 급격하게 늘었던 이용자 수는 빠른 속도로 빠지고 있다. 중국산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이 빈번한 데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까지 불거지는 양상이다.

국내시장에 진출한 지 1년도 채 안돼 초저가를 앞세운 성장 전략이 한계에 부딪힐 조짐을 보이자 이번엔 국내 셀러 모집을 확대하고 나섰다. 품질 측면에서 신뢰할 만한 상품의 가짓수를 늘려보겠다는 의도다.

알리는 한국 상품 중개채널 K-베뉴 입점사에 대한 수수료 면제 정책을 오는 9월까지 연장한다고 27일 발표했다. K-베뉴는 알리가 지난해 10월 문을 연 국내 상품 판매 전용관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2월부터 K-베뉴 입점 셀러를 빠르게 늘리기 위해 판매 수수료를 면제하는 프로모션을 실시했다. 당초 3월까지만 수수료를 면제할 계획이었으나, 쿠팡이 3조원 투자 계획을 밝히는 등 국내 e커머스들의 견제가 강해지자 이달까지 기간을 연장한 바 있다.

알리는 K-베뉴에 등록된 판매자가 지난 3월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경쟁력 있는 상품을 보유한 판매자들이 많이 입점해 상품 라인업도 강화됐다고 밝혔다.
"싼 게 발암떡" 손절 행렬에 놀랐나…알리 '특단 카드' 꺼냈다
알리가 두 차례에 걸쳐 입점사 수수료 면제 조치를 연장한 것은 최근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의 인기가 주춤하고 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의 월간활성이용자(MAU)는 지난 3월 정점(887만 명)을 찍고 두 달 연속 감소했다. 4월엔 859만 명, 5월엔 830만 명으로 줄었다.

진출 초기 초저가를 앞세워 이용자를 끌어모았지만, 품질 문제가 불거지면서 성장세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알리가 국내 셀러를 활용한 마케팅을 펼쳐 유해성 논란 등을 떨치는 등 반전을 모색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가 임박하자 국내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알리는 "K-베뉴를 통해 국내 파트너들이 온라인 시장에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알리의 수수료 면제 정책은 국내 중소 판매자들의 판로 확장과 비즈니스 성장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알리는 정가를 거짓으로 표시한 뒤 할인해주는 것처럼 광고한 행위가 조사 대상이다. 테무의 경우 상시 제공되는 쿠폰을 제한 시간 안에 앱을 설치해야 받는 것처럼 광고한 행위, 친구 초대를 해야 받을 수 있는 선물을 무료 제공인 것처럼 광고한 행위 등이 조사 대상에 해당된다. 공정위는 알리와 테무에 대한 조사를 오는 빠르면 7월 중에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공정위가 알리·테무 등 C커머스 업체의 조사 방침을 밝힌 가운데 알리가 한국 사회 및 기업들과의 상생을 통한 시장 확대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