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열 유쾌한 프로젝트 대표(왼쪽)와 윤사중 프리딕티브코리아 대표가 DNA 분석 기반의 초개인화된 스마트 멘탈케어 고객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업무협약’ 체결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클라이피 제공
홍주열 유쾌한 프로젝트 대표(왼쪽)와 윤사중 프리딕티브코리아 대표가 DNA 분석 기반의 초개인화된 스마트 멘탈케어 고객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업무협약’ 체결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클라이피 제공
클라이피와 존스홉킨스대 출신의 의과학자가 설립한 프리딕티브코리아가 DNA 분석 기반의 초개인화된 스마트 멘탈케어 고객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은 손톱이나 구강상피 세포만으로 2만여 개의 유전체를 모두 분석한 뒤, 이를 가상으로 구현해 2만 2천 개 이상의 유전 관련 질병과 대조하고 각종 치료 및 약물에 대한 민감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휴먼 플랫폼이다.

클라이피는 멘탈케어 플랫폼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멘탈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클라이피 대치 센터를 열고 오프라인에서의 소비자들과의 만남을 넓혀가고 있다.

프리딕티브코리아는 미국 존스홉킨스대 겸임교수인 윤사중 대표가 설립한 최첨단 맞춤형 예방의학 솔루션 개발 기업이다. AI 기반 유전자 분석 플랫폼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오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유전체에 따른 맞춤형 멘탈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클라이피 운영사 유쾌한 프로젝트의 홍주열 대표는 "‘디지털 트윈’ 업무협약을 통해 DNA분석 기반의 초개인화된 멘탈케어 서비스가 가능해졌다"며 "선천 성향 데이터는 물론, 심박과 같은 바이탈 사인(Vital Sign) 등 실시간 바이오 데이터 및 심리검사 결과를 AI가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사중 프리딕티브코리아 대표는 “디지털 트윈은 현실세계에서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를 가상세계에서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를 최적화하는 지능화 융합 예방의학 기술로 클라이피의 초개인화된 스마트 멘탈케어 서비스 전략과도 잘 부합한다”고 말했다.

클라이피는 이를 기반으로 2027년까지 국내 1000만명에게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DNA 분석 기반의 초개인화된 멘탈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다.

오현아 기자 5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