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90억원을 들인 서울 고척동 고척스카이돔 내 복합문화예술공간 ‘서울아트책보고’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한 해 매출로 관리비 정도만 겨우 감당하는 상황이다. 고가의 예술 전문 서적을 접할 수 있는 아트책보고는 박원순 전 시장 사망 이후 서정협 직무대리 시절인 2020년 8월부터 추진된 사업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야구와 관련 없는 시설을 무리하게 조성해 2656㎡의 공간과 매년 20억원대의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종길 서울시의원(국민의힘)이 27일 서울시와 서울시설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아트책보고는 1억316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도서보다는 커피와 간식을 판매해 올린 매출이 대부분이다. 같은 해 전기료, 가스비, 수도 요금 등을 포함한 관리비는 1억2329만원이 들어갔다.

아트책보고는 문화예술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서남권 지역에 들어선 복합문화예술공간이다. 그림책, 팝업 북, 사진집, 일러스트 북, 미술작품집 등 평소 접하기 어려운 예술 관련 전문 도서 1만5000여 권을 소장하고 있다. 열람실을 비롯해 서점, 전시장, 체험 공간, 북카페, 휴식 공간 등이 있다. 2022년 12월 개관 이후 현재까지 운영비로 48억9497만원이 들었고, 사업 초기 공사비 등으로 지출한 36억8225만원을 더하면 총 85억7723만원이 시설에 투입됐다.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늘리겠다는 취지는 좋았지만 사업 초기부터 야구 경기와 콘서트가 주로 열리는 고척돔과는 어울리지 않는 시설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가 아트책보고를 시범 운영 중이던 2022년 12월 초 이병윤 서울시의원은 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히딩크감독실 등이 들어선 상암월드컵경기장처럼 고척돔구장에도 야구 관련 홍보시설이 들어와야 하는 것 아니었느냐”며 “생뚱맞게 아트책보고 도서관이 들어오는 게 의아하다”고 지적했다. 당시 아트책보고 사업을 담당한 문화본부의 주용태 본부장(현 미래한강본부장)은 “지역 주민들의 수요가 있었다고 본다”고 답했다.

서울시 문화본부 관계자는 “아트(예술) 테마 대신 시민 모두 쉽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넣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