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혼인 연령대인 30~34세 청년들이 결혼하지 않거나 뒤로 미루면서 두 명 중 한 명 이상이 미혼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미혼율은 20년 전 대비 세 배가량으로 높아졌다.

30~34세 청년 중 절반 이상이 '미혼'…20년새 3배 늘었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27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9~34세 청년의 81.5%(783만7000명)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미혼율은 2000년 62.4%에서 2020년 86.1%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여성 미혼율도 47.2%에서 76.8%로 올라갔다.

청년층 가운데 30~34세 미혼율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2020년 30~34세 미혼율은 56.3%로 2000년(18.7%)과 비교하면 비중이 약 세 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25~29세 미혼율도 54.2%에서 87.4%로 올라갔다. 통계개발원 관계자는 “19~24세 미혼율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이 높아지지 않았지만 25~29세와 30~34세 미혼율은 남녀 모두 빠르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남성보다 여성의 미혼율이 더 크게 뛰었다. 30~34세 남성 미혼율은 2000년 27.0%에서 2020년 65.9%로 약 2.5배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30~34세 여성 미혼율은 10.3%에서 45.9%로 약 4.5배로 급상승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결혼을 늦게 하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청년세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에 31.9%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20년 청년 인구 비중은 20.4%로 내려갔다. 2050년에는 청년 인구 비중이 11.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학 이상 졸업자 비중은 2010년 50.5%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대학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3.0%로 남자 58.4%, 여자 47.8%였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