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량을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량을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사진=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선물한 러시아산 고급 리무진의 제조사가 한국산 부품을 다량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 리무진 제조사 아우루스모터스(이하 아우루스)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동차·오토바이 조립에 필요한 장비·부품을 최소 3400만 달러(468억3000여만원)어치 수입한 것으로 세관 기록에 나타났다.

이 가운데 1550만 달러(213억5000여만원)는 한국 업체들에서 들여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밖에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이탈리아 등에서도 아우루스에 부품을 공급한 것으로 확인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친교를 두터이 했다고 전했다. /사진=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친교를 두터이 했다고 전했다. /사진=뉴스1
아우루스의 주요 수입 부품은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과 각종 센서 및 스위치, 용접 장비, 프로그램을 넣어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등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로도 부품 수입은 이어졌다. 한국산 부품 500만 달러(68억8000여만원)어치를 비롯해 1600만 달러(220억4000여만원) 상당의 부품·장비를 아우루스는 수입했다. 다만 이는 대러시아 제재를 어긴 것이 아니다. 아우루스는 올해 2월에서야 미국 등의 대러시아 제재 대상기관 명단에 올랐다.

아우루스 부품 공급사 가운데 한국의 경기산업 관계자는 "아우루스에 부품을 공급해왔고 지금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산업은 자동화 설비와 더불어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로, 차체 관련 부품을 만든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친교를 두터이 했다고 전했다. /사진=평양 노동신문,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친교를 두터이 했다고 전했다. /사진=평양 노동신문, 뉴스1
아우루스는 러시아 국영 자동차·모터 중앙연구소가 국내외 업체들과 기술협력을 통해 자체 생산 고급차를 개발하겠다는 프로젝트에서 탄생한 회사로, 이 회사의 아우루스 세나트는 '러시아판 롤스로이스'로 불린다. 해당 모델은 푸틴 대통령의 전용차로 익히 알려져 있다. 올해 2월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이 모델을 선물했고, 이달 평양 방문 때에도 1대를 더 선물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러시아의 자동차 기술력을 상징하는 브랜드인 아우루스가 한국 등 해외 업체들에서 다량의 부품을 조달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러시아의 자동차 기술 자립력이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아우루스의 수입 부품들은 김정은이 주적이라고 부르는 한국에서 들여온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겠다는 러시아가 계속 서방 진영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