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AP
사진=AP
세계 최대 e커머스 업체 아마존이 중국 직구 전용 섹션을 연다. 초저가 상품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테무·쉬인 등 중국 e커머스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다.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국 셀러(판매자)들을 유치하려는 글로벌 e커머스 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27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에 따르면 아마존은 26일 중국 셀러 대상 컨퍼런스를 열고 20달러(약 2만7000원) 이하 제품 위주로 구성된 중국 직구몰 출시 계획을 밝혔다. 아마존이 중국 셀러들을 대상으로 공개한 직구몰 첫 화면에는 얼굴 마사지용 괄사, 휴대폰 케이스 등 중국에서 직구한 초저가 제품들로 구성됐다. 배송기간은 주문으로부터 9~11일로 계획했다.

이번 발표 배경엔 테무와 쉬인이 미국 시장 공세 수위를 높이며 미국 e커머스 ‘절대 강자’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아마존의 위기감이 있다. 중국 셀러들은 과거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판매할 때 대부분 아마존을 이용했지만, 최근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의 해외 진출이 늘며 상당수가 테무와 알리 등으로 넘어갔다. 아마존은 지난해 12월 중국 선전에 기술·제조 관련 혁신 센터 설립을 발표한데 이어 최근엔 20달러 미만의 의류를 판매하는 셀러를 대상으로 수수료도 인하했다.

새로 선보이는 직구 섹션도 중국 셀러들의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 아마존은 이번 직구몰 계획을 내놓으며 셀러들이 미국으로 상품을 직접 배송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중국 셀러들이 소비자에게 상품을 배송하기 전 아마존 풀필먼트센터를 거쳐야만 했다. 아마존은 중국 셀러들이 자사 풀필먼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소량 생산이 가능해지고 배송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해당 중국 직구몰은 이르면 가을 출시될 전망이다. 마리아 보체티 아마존 대변인은 “판매 파트너와 협력하여 더 많은 선택권, 더 낮은 가격, 더 큰 편의성으로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