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서 웹툰엔터 경영진 기자간담회…"'넥스트 해리포터·피카츄' 나올 수 있어"
이해진 네이버 GIO 상장 타종행사 등장에 "네이버와는 아버지와 독립한 아들 관계"
김준구 대표 "디즈니처럼 100년 기업 꿈꿔…목표까지 절반 왔다"(종합)
"제가 주니어 때 (네이버웹툰을) '아시아의 디즈니'로 키우겠다면서 목표로 세운 계획이 36년이었거든요.

이제 20년이 지났으니 목표까지 절반 조금 넘게 지나왔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
27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웹툰엔터테인먼트의 김준구(47)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이날 뉴욕 나스닥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아시아의 디즈니'처럼 회사를 키우겠다는 포부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네이버웹툰의 모회사로, 이날 뉴욕 나스닥 시장에 상장, 첫날 주가가 10% 가까이 오르며 월가의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에 평사원으로 입사해 신생 서비스였던 웹툰을 키우고, 20년 만에 미국 상장사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아시아의 디즈니'를 목표로 세웠던 데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며 디즈니처럼 훌륭한 작품들을 글로벌로 배급할 수 있는 배급망과 지식재산(IP)을 갖춤과 동시에 디즈니처럼 100년 넘게 가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희와 함께하는 수많은 개인 창작자가 있기에 좋은 지식재산을 많은 독자에게 배급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많은 성취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애플,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기업들이 웹툰 시장에 진입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자신들과 같은 비교선상에 놓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우리의 팔로워(후발주자)를 자처하는 플레이어와 우리는 많이 다르다"며 "그들은 콘텐츠를 외부에서 들여와 판매하는 '스토어 모델'이고, 저희는 작가와 작품이 내부에서 성장해 히트 콘텐츠를 내는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사용자에게 5분이라는 짧은 시간이 있을 때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그 5분을 위해 넷플릭스를 켤 수는 없다.

그러니 웹툰이 '원 앤 온리' 플레이어"라고 자신하기도 했다.

김준구 대표 "디즈니처럼 100년 기업 꿈꿔…목표까지 절반 왔다"(종합)
이번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성공적인 상장 뒤에는 월가 투자자들의 호의적인 평가가 있었다.

김 대표는 블랙록이 나스닥 상장 과정에 앵커 투자자로 참여했다면서 "우리의 비전을 가장 빨리 바잉(Buying)한 투자자"라며 월가 투자자들이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을 높게 사줬다고 밝혔다.

함께 간담회에 참석한 김용수 최고전략책임자(CSO)도 "블랙록뿐만 아니라 이름만 들으면 알 정도의 대형사들이 이번 상장 과정에서 대거 투자자로 참여했다"라고 설명했다.

김 CSO는 "전 세계적으로 2천400만명의 창작자가 웹툰엔터테인먼트에 들어와 있고, 5천500만개의 콘텐츠가 있는데 '넥스트 해리포터', '넥스트 피카츄'는 여기서 나올 수 있지 않겠냐는 공감대가 글로벌 투자자에게도 어필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상장으로 조달한 자금으로는 AI 기술 투자와 IP 비즈니스 확장을 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우리는 테크 기업이자 콘텐츠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해야 한다"며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인재 채용에 (투자금의) 가장 많은 부분을 할애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또 북미에서의 플랫폼 확장, 광고 비즈니스 확대에 대한 투자도 이뤄질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날 웹툰엔터테인먼트 상장 기념 타종 행사에는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참석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김 대표는 "투자자들이 네이버와 웹툰엔터테인먼트의 향후 관계를 궁금해했는데, '아버지와 아들이 같이 살다가 아들이 독립하고 나선 상황'이라고 설명한다"라고 했다.

그는 "그런 상황에서 아버지라면 '아들아 나보다 더 성공한 삶을 살아라. 그리고 필요한 게 있으면 얘기하라' 이렇게 말할 것"이라며 "이해진 GIO에게도 이 얘길 했는데 듣고 웃으셨다"라고 말했다.

김 CSO는 "나스닥 상장은 한국이 만든 콘텐츠 플랫폼과 생태계를 하나의 공인된 글로벌 산업으로 인정해 준다는 의미"라며 "한국과 일본에서의 성공을 북미와 글로벌에서도 이어갈 거라는 데에 굉장히 많은 힘을 실어줬다"라고 밝혔다.

김준구 대표 "디즈니처럼 100년 기업 꿈꿔…목표까지 절반 왔다"(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