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쇼크…지갑 닫은 소비자 [통계 인사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한 달 전보다 일제히 줄면서 10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산업 전체에 빠르게 확산하지 못하면서 생산과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부문별로 온도 차가 뚜렷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1(2020년=100)로 전월보다 0.7%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 지수는 지난 3월 2.3% 줄어든 뒤 4월에 1.2%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에서 1.2% 감소했다. 광공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이 1.1%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도 0.5% 감소했다.
광공업 중에선 기계장비(-4.4%), 자동차(-3.1%), 1차금속(-4.6%)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반면 주력업종인 반도체는 호조세가 이어졌다. 반도체 생산이 1.8% 늘어 지난 2월 이후 석 달 만에 반등했다.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0.2% 줄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소매판매가 두 달 연속 감소한 것은 작년 3∼4월 이후 1년여만이다. 설비투자는 4.1% 줄어 석 달째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4.6%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과 소매판매, 설비투자가 동반 감소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은 기저효과로 마이너스를 보였으나 괜찮은 흐름”이라며 “다만 소비와 투자 등 지출은 이런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지수도 일제히 하락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8로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하락 폭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5월(-1.0포인트) 이후 48개월 만에 가장 크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0.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산업활동은 전반적으로 주요 지표들이 월별 변동성 차원에서 전월 개선에 따른 조정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조정이라는 뜻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전산업 생산은 4~5월 전체로 보면 보합 수준에 있다”며 “견조한 수출 호조세로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 기조는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내수는 수출에 비해 회복 속도가 더뎌 부문별로 온도 차가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최근 물가 둔화 흐름과 함께 여행 성수기 시즌에 진입하고 주요 기업의 하반기 장비 도입이 본격화되면 소비·투자 등 지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1(2020년=100)로 전월보다 0.7%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 지수는 지난 3월 2.3% 줄어든 뒤 4월에 1.2%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에서 1.2% 감소했다. 광공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이 1.1%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도 0.5% 감소했다.
광공업 중에선 기계장비(-4.4%), 자동차(-3.1%), 1차금속(-4.6%)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반면 주력업종인 반도체는 호조세가 이어졌다. 반도체 생산이 1.8% 늘어 지난 2월 이후 석 달 만에 반등했다.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0.2% 줄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소매판매가 두 달 연속 감소한 것은 작년 3∼4월 이후 1년여만이다. 설비투자는 4.1% 줄어 석 달째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4.6%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과 소매판매, 설비투자가 동반 감소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은 기저효과로 마이너스를 보였으나 괜찮은 흐름”이라며 “다만 소비와 투자 등 지출은 이런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지수도 일제히 하락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8로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하락 폭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5월(-1.0포인트) 이후 48개월 만에 가장 크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0.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산업활동은 전반적으로 주요 지표들이 월별 변동성 차원에서 전월 개선에 따른 조정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조정이라는 뜻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전산업 생산은 4~5월 전체로 보면 보합 수준에 있다”며 “견조한 수출 호조세로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 기조는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내수는 수출에 비해 회복 속도가 더뎌 부문별로 온도 차가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최근 물가 둔화 흐름과 함께 여행 성수기 시즌에 진입하고 주요 기업의 하반기 장비 도입이 본격화되면 소비·투자 등 지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