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인들의 해외여행 선호도가 갈수록 저조해지고 있다는 현지 매체의 분석이 나왔다. 매체는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비용 문제로 해외 대신 국내 여행을 택했다고 전했다. 장기화하는 엔화 약세 현상이 이를 부추겼다는 설명이다.

일본 경제 주간지 '겐다이비즈니스'는 '대부분의 일본인은 해외여행에 갈 수 없게 됐다…일본이 외면하는 슬픈 현실'이라는 제목으로 일본 관광청의 올해 1분기 여행·관광 소비 동향 조사 결과를 26일 보도했다.

조사에 따르면, 일본인의 국내 여행 소비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한 4조7574억엔(약 40조9007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직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13% 늘었다. 이 기간 여행자 수는 5038만명으로 집계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다만 매체는 일본인이 국내 여행에 쓴 돈은 늘었으나, 해외여행 등 장기간의 여행이 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여행을 가지 않겠다는 여론도 크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현지 여행사 JTB가 진행한 '2024년 황금연휴(4월 25일~5월 5일) 여행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73.6%가 올해 황금연휴 중 '1박 이상의 여행은 가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여행 비용이 비싸다', '가계에 여유가 없다' 등이 응답이 꼽혔다. 경제적 이유를 드는 사람의 비율이 지난해 대비 늘었다고 매체는 전했다.

여행 문화 평론가 하시가 히데노리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해외여행을 포기한 사람이 국내 숙박 여행으로, 국내 숙박 여행을 포기한 사람이 당일 여행으로 조정하고 있다"며 "여행 계획에서 비용을 중시해 하향·축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시가는 해외여행 선호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엔화 약세 현상'을 꼽았다. 그는 "최근 환율이 크게 변동해 이날 기준 1달러(약 1381원)를 사기 위해서는 160엔(약 1373원)을 내야 한다"며 "해외여행에 1000달러(약 138만1500원)를 지출하려면 코로나19 이전에는 10만엔(약 84만8420원)이 필요했지만, 이날 기준으로는 16만엔(약 137만3472원)이 필요하게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탓에 해외여행을 계획하다가 국내 여행으로 노선을 트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 히로시마현 남부 미하라시의 미하라히가시 고등학교는 수학여행으로 대만에 갈 예정이었으나 계획 도중 1인당 비용이 10만엔에서 15만엔(약 128만7345원)으로 치솟자 결국 도쿄로 여행지를 바꿨다. 이 지역 30개 고등학교 가운데 22개교가 수학여행지로 국내를 택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일본인들이 주로 선호하는 해외 관광지 물가가 치솟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매체는 "대만은 일본과 비교해 물가가 저렴한 편이 아니게 됐고, 한국 물가는 오히려 일본보다 비싼 상황"이라며 "중국·인도 등 선택지도 있지만 이들 국가는 비자 발급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관광 여건이 좋지 않아 선호도가 떨어진다"고 전했다.

끝으로 하시가는 "엔화 약세가 계속됨으로써 인바운드 수요의 호조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