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 첫 '초고령 사회' 진입한 부산…"30년 뒤엔 인구 25% 소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멸위험지수 0.49 '경고등'
청년 유출로 대학가 상권 무너져
자영업자 줄어들고 공실률 늘어
2030 여성인구 7년새 11% 감소
청년 유출로 대학가 상권 무너져
자영업자 줄어들고 공실률 늘어
2030 여성인구 7년새 11% 감소
저출생과 고령화 등으로 부산시가 전국 6대 광역시 중 처음으로 초고령사회(만 65세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에 진입했다. 인구 소멸 위험 경고등이 켜지면서 30년 후 인구가 25% 이상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8일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공개했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로 집계됐다.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은 0.490이었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새로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7곳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은 0.615였고 전남(0.34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등 지역이 평균을 밑돌았다.
연구진은 부산시를 구 단위로 분석한 결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도 소멸 위험 지역에 합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종전까지는 재개발이 지연된 원도심(부산 영도구·동구)과 노후 산업지역(부산 사상구·사하구) 등이 소멸 위험 지역이었다.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가 0.256으로 전체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 영도구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의 인구와 비교하면 20∼39세 여성 인구는 11.4%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인구는 73.5% 급증했다.
연구진이 통계청 인구추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50년 부산의 전체 인구는 2020년 대비 25.1% 감소한다. 같은 기간 20~30대 여성 인구는 55.3% 줄어든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74.4% 증가한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 위험 지역이 최근에도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 소멸 방지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고영근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위원이 같은 잡지에 게재한 ‘지역고용 동향’에 따르면 부산 지역의 2024년 1분기 자영업자 수는 31만7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 명(11.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0.2%)을 훌쩍 뛰어넘었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서 대학 상권이 무너진 게 주요 원인으로 거론됐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부산대 앞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25.6%로 전년 대비 13.5% 급증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한국고용정보원은 28일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공개했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로 집계됐다.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은 0.490이었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새로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7곳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은 0.615였고 전남(0.34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등 지역이 평균을 밑돌았다.
연구진은 부산시를 구 단위로 분석한 결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도 소멸 위험 지역에 합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종전까지는 재개발이 지연된 원도심(부산 영도구·동구)과 노후 산업지역(부산 사상구·사하구) 등이 소멸 위험 지역이었다.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가 0.256으로 전체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 영도구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의 인구와 비교하면 20∼39세 여성 인구는 11.4%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인구는 73.5% 급증했다.
연구진이 통계청 인구추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50년 부산의 전체 인구는 2020년 대비 25.1% 감소한다. 같은 기간 20~30대 여성 인구는 55.3% 줄어든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74.4% 증가한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 위험 지역이 최근에도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 소멸 방지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고영근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위원이 같은 잡지에 게재한 ‘지역고용 동향’에 따르면 부산 지역의 2024년 1분기 자영업자 수는 31만7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 명(11.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0.2%)을 훌쩍 뛰어넘었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서 대학 상권이 무너진 게 주요 원인으로 거론됐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부산대 앞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25.6%로 전년 대비 13.5% 급증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