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전국에서 1만3000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증가는 건설사에 재무 부담으로 작용한다. 서울 악성 미분양이 약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해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미분양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전국 '악성 미분양' 1만3000가구 넘었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3230가구로, 지난 4월(1만2968가구)보다 2.0% 증가했다. 특히 서울은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4월(499가구)보다 8.0% 늘어난 539가구로 조사됐다. 2014년 7월(558가구)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

지방에선 경남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793가구로 가장 많았다. 대구(1506가구) 전남(1354가구) 부산(1308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 전체 미분양 물량은 7만2129가구로 집계돼 4월(7만1997가구) 이후 2개월 연속 7만 가구를 웃돌았다. 서울은 974가구로 4월(936가구)보다 소폭 늘었다. 지방에선 대전이 2538가구로 4월(1317가구)의 두 배에 육박했다. 부산(5496가구)과 인천(4911가구)도 전월 대비 각각 930가구, 651가구 증가했다.

올해 1월 정부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최초 구입하면 세제 산정 때 주택 수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3월에는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을 위한 기업구조조정(CR) 리츠 도입을 예고하고 취득세 중과 배제 등의 혜택을 제시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 지속으로 미분양 물량이 늘고 있다.

신규 주택 공급을 가늠할 수 있는 인허가 물량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만3492가구를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9% 줄었다. 1~5월 누계로 따져도 12만597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1% 줄었다.

반면 착공과 분양 물량은 회복세를 보였다. 전국 주택 착공 물량은 1만734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269가구)보다 41.3% 늘었다. 분양 물량도 같은 기간 2만17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7439가구) 대비 171.3% 불어났다.

주택 거래량은 수도권과 지방 간 온도 차를 보였다. 지난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는 2만7603건으로 4월(2만7124건)보다 1.8% 늘었다. 지방은 같은 기간 2만9833건으로 전달(3만1091건)보다 4.0%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전국 기준 22만7736건으로 전월(24만5405건)보다 7.2% 줄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