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모빌리티 여기에 달렸다…실리콘밸리서 'SDV 끝장승부' 띄운 현대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실리콘밸리에 SW 연구소 설립
'움직이는 스마트폰' SDV
2028년 시장 규모 600兆 육박
10년뒤 쓰일 선행기술 연구할 듯
'움직이는 스마트폰' SDV
2028년 시장 규모 600兆 육박
10년뒤 쓰일 선행기술 연구할 듯

SDV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테슬라를 필두로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회사, 화웨이를 비롯한 테크회사까지 SDV 소프트웨어에 ‘올인’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케츠앤드마케츠는 이런 점을 감안해 지난해 2709억달러(약 387조원)이던 글로벌 SDV 시장이 2028년 4197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SW 기본기가 탄탄한 회사 중 하나로 꼽힌다. 도요타 폭스바겐 등과 함께 몇 안 되는 자체 OS를 갖춘 완성차회사여서다. 하지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나 자율주행 알고리즘 분야에선 테슬라는 물론 BYD, 샤오미 등 중국 전기차회사에 밀린다는 평가가 나온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 등 경영진이 지난 4월 찾은 중국 상하이모터쇼에서 중국 전기차회사들의 SW 기술을 직접 본 뒤 충격을 받았다는 얘기도 들린다.
실리콘밸리 SW연구소가 문을 열면 현대차그룹 연구개발(R&D) 전반에 상당한 변화가 올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현대차그룹의 차량 R&D 조직은 △SW △하드웨어(HW) △디자인 등으로 나뉘어 있다. 이 중 차량과 수소연료전지, 전동화 개발 등은 HW를 담당하는 현대차 R&D본부가 맡고 있고, SW는 현대차 AVP본부가 책임지고 있다. 송창현 현대차 AVP본부장 겸 차량SW담당 사장은 차량용 OS 등을 개발하는 포티투닷 사장도 함께 맡고 있다. 포티투닷은 올초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 지사를 세우고 현지 SW 엔지니어를 채용하고 있다.
김재후/신정은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