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고액권 새 얼굴로 '기업인' 택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만엔권 등 20년만에 새지폐
'한국 침략 선봉 인물' 논란도
'한국 침략 선봉 인물' 논란도

일본은 오는 3일 1만엔권, 5000엔권, 1000엔권 초상을 새 인물로 바꾼 신권을 발행한다. 2004년 1000엔권과 5000엔권을 바꾼 이후 20년 만이다.
시부사와는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를 거쳐 은행, 철도 등 500여 개 기업의 설립을 주도했다. 그는 저서 <논어와 주판>에서 “한 손에는 주판을 들고 돈을 많이 벌되, 또 다른 손에는 논어를 들고 항상 윤리를 생각하라”며 ‘도덕경제합일론’을 내세웠다. 이 논리는 현재 기시다 후미오 내각이 추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와 맞닿아 있다는 것이 일본 언론들의 분석이다. 시부사와는 사회봉사기관을 많이 세우고 미국과 일본 간 관계 회복을 추구해 노벨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시부사와는 한반도 침략의 선봉에 선 인물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그는 1900년대 초 자신이 은행장이었던 제일국립은행이 대한제국에서 허가 없이 1~10엔 화폐를 발행하도록 했다. 해당 화폐에는 시부사와의 얼굴이 들어갔다. 한반도 일대 철도건설에도 기여했다. 당시 한국 관점에서 보면 그는 제국주의의 첨병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