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탄도미사일 2발 발사…실패 1발 평양 인근에 떨어진 듯(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각각 600㎞·120㎞ 비행 후 1발은 청진 앞바다 낙하·1발은 육지 추락
'러 수출용' 화성-11형 시험발사…한미일 연합훈련 반발 가능성도 북한이 1일 새벽 탄도미사일 2발을 동북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합참은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군은 오늘 황해남도 장연 일대에서 오전 5시 5분과 15분경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을 각각 포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5시 5분경 발사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600여km를 비행했고, 5시 15분경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120여km를 비행했으며,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시 즉각 포착해 추적, 감시하였으며,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전했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이날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 모두 북한이 '지대지전술탄도미사일'이라고 부르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사거리 300∼1천㎞)인 화성-11형(KN-23)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은 작년 3월 14일에도 장연 일대에서 화성-11형 2발을 발사했고, 2발 모두 약 610㎞를 비행했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작년 3월 14일 발사와 동일 장소에서, 동일 사거리로, 동일 목표지점(청진 앞바다)으로 이뤄졌고, 북한이 2발의 미사일을 쏘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미사일을 시험했을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2발 중 사거리가 짧은 1발은 화성-11형 발사 실패로 추정된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 언론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1차 발사 미사일은 600여km를 정상 비행했지만, 2차 발사 미사일은 초기 단계에서 비정상적으로 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비정상 비행 중 폭발했다면 잔해가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 2발 중 60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청진 앞바다에 낙하했지만, 12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평양 인근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다.
황해남도 장연에서 동북 방향으로 120㎞ 지점은 평양 동쪽 지역에 해당한다.
합참 관계자는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은 120여㎞ 비행 후 레이더에서 소실돼 "낙탄 지점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면서도 "평양 쪽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만, 군 당국은 북한이 새로운 종류의 근거리탄도미사일(CRBM·사거리 300㎞ 이하)을 시험발사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이 실장은 "새로운 무기를 시험했을 가능성 또는 비정상 비행을 했을 가능성 등 여러 가능성을 모두 분석해야 한다"면서 "(사거리가 120여㎞인) 미사일이 SRBM(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면 필요한 고도까지 올라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화성-11형을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시험발사는 러시아 수출용 미사일의 성능 시험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
한미일의 첫 다영역 연합 훈련 '프리덤 에지'에 반발한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프리덤 에지와 관련해 한미일이 '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체계를 갖췄음을 보여준다면서 강력하게 규탄했다고 전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외무성 대외정책실 공보문을 통해 밝혔다
북한의 이날 탄도미사일 도발은 닷새 만이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오전 5시 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다음 날 관영매체를 통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합참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초기 상승 단계부터 불안정하게 비행하다가 공중 폭발했기 때문에 북한 주장은 과장·기만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최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는 등 복합 도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해 지난 5월 28일부터 지난달 26일 밤까지 총 7차례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가 이어지던 지난달 9일 접경지역에서 심리전 수단인 대북 확성기를 일시 가동했지만, 그 후로는 가동하지 않고 있다.
합참은 "대북 심리전 방송은 즉각 시행할 준비는 돼 있다.
전략적·작전적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시행할 것이고 이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
/연합뉴스
'러 수출용' 화성-11형 시험발사…한미일 연합훈련 반발 가능성도 북한이 1일 새벽 탄도미사일 2발을 동북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합참은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군은 오늘 황해남도 장연 일대에서 오전 5시 5분과 15분경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을 각각 포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5시 5분경 발사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600여km를 비행했고, 5시 15분경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120여km를 비행했으며,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시 즉각 포착해 추적, 감시하였으며,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전했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이날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 모두 북한이 '지대지전술탄도미사일'이라고 부르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사거리 300∼1천㎞)인 화성-11형(KN-23)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은 작년 3월 14일에도 장연 일대에서 화성-11형 2발을 발사했고, 2발 모두 약 610㎞를 비행했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작년 3월 14일 발사와 동일 장소에서, 동일 사거리로, 동일 목표지점(청진 앞바다)으로 이뤄졌고, 북한이 2발의 미사일을 쏘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미사일을 시험했을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2발 중 사거리가 짧은 1발은 화성-11형 발사 실패로 추정된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 언론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1차 발사 미사일은 600여km를 정상 비행했지만, 2차 발사 미사일은 초기 단계에서 비정상적으로 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비정상 비행 중 폭발했다면 잔해가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 2발 중 60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청진 앞바다에 낙하했지만, 12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평양 인근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다.
황해남도 장연에서 동북 방향으로 120㎞ 지점은 평양 동쪽 지역에 해당한다.
합참 관계자는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은 120여㎞ 비행 후 레이더에서 소실돼 "낙탄 지점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면서도 "평양 쪽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만, 군 당국은 북한이 새로운 종류의 근거리탄도미사일(CRBM·사거리 300㎞ 이하)을 시험발사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이 실장은 "새로운 무기를 시험했을 가능성 또는 비정상 비행을 했을 가능성 등 여러 가능성을 모두 분석해야 한다"면서 "(사거리가 120여㎞인) 미사일이 SRBM(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면 필요한 고도까지 올라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화성-11형을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시험발사는 러시아 수출용 미사일의 성능 시험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
한미일의 첫 다영역 연합 훈련 '프리덤 에지'에 반발한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프리덤 에지와 관련해 한미일이 '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체계를 갖췄음을 보여준다면서 강력하게 규탄했다고 전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외무성 대외정책실 공보문을 통해 밝혔다
북한의 이날 탄도미사일 도발은 닷새 만이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오전 5시 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다음 날 관영매체를 통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합참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초기 상승 단계부터 불안정하게 비행하다가 공중 폭발했기 때문에 북한 주장은 과장·기만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최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는 등 복합 도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해 지난 5월 28일부터 지난달 26일 밤까지 총 7차례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가 이어지던 지난달 9일 접경지역에서 심리전 수단인 대북 확성기를 일시 가동했지만, 그 후로는 가동하지 않고 있다.
합참은 "대북 심리전 방송은 즉각 시행할 준비는 돼 있다.
전략적·작전적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시행할 것이고 이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