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3%, 올 하반기 수출 회복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이 하반기에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선박, 석유화학, 바이오, 자동차 등이 원화 약세와 업황 개선 등에 힘입어 제품 경쟁력이 살아나서다. 다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는 탓에 수익성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2대 수출 주력 업종에 속한 매출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3.2%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수출 증가 전망 응답 비중 100%), 석유화학(75%), 바이오헬스(72.7%), 자동차부품(70%), 전기·전자(68.3%) 분야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반기계(54.5%), 자동차(50.0%)는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비율로 나왔고, 철강(46.2%), 석유제품(0%)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았다. 수출 증가 이유에 대해서는 △업황 개선(35.4%) △신기술 개발 등 제품경쟁력 강화(15.6%) 등을 꼽았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원자재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33.9%)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25.0%)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수익성은 비슷하거나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 기업 10곳 중 8곳(79.0%)은 '수출 채산성’이 작년 하반기보다 비슷(50.0%)하거나 악화(29.0%)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산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은 업종은 석유제품, 바이오헬스, 석유화학, 전기·전자, 철강, 일반기계 등이었다. 개선될 것이란 답이 많은 업종은 선박, 자동차, 자동차부품 등이었다.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유·광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38.7%) △수출단가 인하(22.7%)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13.6%) 등이 꼽혔다. 올 하반기 수출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는 △원부자재 단가 상승(29.0%) △글로벌 저성장 추세에 따른 수요 회복 지연(27.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및 중동 분쟁 확대(15.1%) 등의 순으로 답이 나왔다.
유가 불안이 지속될 때 기업들의 대응방안으로는 △판관비, 운영비 등 비용 절감(40.8%) △제품가격 인상(21.7%) △공급망 다변화(20.4%) 순으로 많이 나왔다. 기업들은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원·달러 환율을 평균 1332원으로 생각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하반기 수출은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의 호조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둔화, 환율 불안정, 반도체 경쟁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 선거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수출 증가 전망 응답 비중 100%), 석유화학(75%), 바이오헬스(72.7%), 자동차부품(70%), 전기·전자(68.3%) 분야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반기계(54.5%), 자동차(50.0%)는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비율로 나왔고, 철강(46.2%), 석유제품(0%)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았다. 수출 증가 이유에 대해서는 △업황 개선(35.4%) △신기술 개발 등 제품경쟁력 강화(15.6%) 등을 꼽았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원자재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33.9%)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25.0%)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수익성은 비슷하거나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 기업 10곳 중 8곳(79.0%)은 '수출 채산성’이 작년 하반기보다 비슷(50.0%)하거나 악화(29.0%)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산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은 업종은 석유제품, 바이오헬스, 석유화학, 전기·전자, 철강, 일반기계 등이었다. 개선될 것이란 답이 많은 업종은 선박, 자동차, 자동차부품 등이었다.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유·광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38.7%) △수출단가 인하(22.7%)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13.6%) 등이 꼽혔다. 올 하반기 수출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는 △원부자재 단가 상승(29.0%) △글로벌 저성장 추세에 따른 수요 회복 지연(27.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및 중동 분쟁 확대(15.1%) 등의 순으로 답이 나왔다.
유가 불안이 지속될 때 기업들의 대응방안으로는 △판관비, 운영비 등 비용 절감(40.8%) △제품가격 인상(21.7%) △공급망 다변화(20.4%) 순으로 많이 나왔다. 기업들은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원·달러 환율을 평균 1332원으로 생각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하반기 수출은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의 호조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둔화, 환율 불안정, 반도체 경쟁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 선거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