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보다 버스전용차로 위 버스가 더 느린 까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시내버스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토론회
서울 도심에서 중앙전용차로 이동하는 시내버스가 승용차보다 속도가 느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의 수도권 연담화 현상으로 광역버스 노선이 느는 등 대중교통체계에 피로감이 커져서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버스우선신호를 갖춘 최첨단시스템인 S-BRT를 구축하는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황보연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초빙교수는 1일 대한교통학회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시장이던 2004년 시 교통국에서 교통체계개선팀장을 지내며 '버스 준공영제'라는 과제를 추진했던 실무자였다.
황 교수에 따르면 2007년 시속 22.3㎞에 달했던 중앙버스전용차로 속도는 2022년 시속 17.2㎞까지 느려진 반면, 같은 기간 승용차의 도심 속도는 시속 14.4㎞에서 19.2㎞로 올랐다. 중앙전용차로 시범 도입한 도봉미아로의 경우 버스 개편 이전인 2024년 6월 시속 11㎞에서 개편 이후 6개월 만에 20.3㎞로 거의 2배 이상 빨라진 것과 대조된다. 황 교수는 "승용차보다 시속 8㎞가량 빨랐던 버스가 현재는 오히려 승용차 2㎞ 더 느려진 셈"이라며 "대중교통 분담률이 점차 감소하고, 코로나19 이후 승용차 통행이 급증하면서 벌어지는 악순환"이라고 분석했다. 2014년 정점을 찍은 대중교통수단분담율이 점차 감소하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승용차 이용이 증가하면서 서울 버스의 매력이 바닥으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교통환경 변화와 함께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버스준공영제도를 손봐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대안으로 도로용량을 고려한 버스노선 배정, 대중교통 우선신호 도입, 중앙차로 BRT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을 제시했다.
중앙 정부의 투자도 현재보다 훨씬 더 늘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 교수는 “정부는 현재 도로에 재원의 61%를 배정하고, 교통체계 관리계정에는 3.1%만 배정하고 있는데, 교통시설특별회계 내 교통체계 관리 계정 재원을 10%까지만 늘려도 버스 등 교통복지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
황보연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초빙교수는 1일 대한교통학회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시장이던 2004년 시 교통국에서 교통체계개선팀장을 지내며 '버스 준공영제'라는 과제를 추진했던 실무자였다.
황 교수에 따르면 2007년 시속 22.3㎞에 달했던 중앙버스전용차로 속도는 2022년 시속 17.2㎞까지 느려진 반면, 같은 기간 승용차의 도심 속도는 시속 14.4㎞에서 19.2㎞로 올랐다. 중앙전용차로 시범 도입한 도봉미아로의 경우 버스 개편 이전인 2024년 6월 시속 11㎞에서 개편 이후 6개월 만에 20.3㎞로 거의 2배 이상 빨라진 것과 대조된다. 황 교수는 "승용차보다 시속 8㎞가량 빨랐던 버스가 현재는 오히려 승용차 2㎞ 더 느려진 셈"이라며 "대중교통 분담률이 점차 감소하고, 코로나19 이후 승용차 통행이 급증하면서 벌어지는 악순환"이라고 분석했다. 2014년 정점을 찍은 대중교통수단분담율이 점차 감소하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승용차 이용이 증가하면서 서울 버스의 매력이 바닥으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교통환경 변화와 함께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버스준공영제도를 손봐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대안으로 도로용량을 고려한 버스노선 배정, 대중교통 우선신호 도입, 중앙차로 BRT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을 제시했다.
중앙 정부의 투자도 현재보다 훨씬 더 늘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 교수는 “정부는 현재 도로에 재원의 61%를 배정하고, 교통체계 관리계정에는 3.1%만 배정하고 있는데, 교통시설특별회계 내 교통체계 관리 계정 재원을 10%까지만 늘려도 버스 등 교통복지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