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문화대혁명 트라우마는 계속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억의 장례
타냐 브레니건 지음 / 박민희 옮김
마르코폴로 / 440쪽|2만5000원
타냐 브레니건 지음 / 박민희 옮김
마르코폴로 / 440쪽|2만5000원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중국에 ‘문화대혁명’이라는 광기가 휘몰아쳤다. 아이들은 부모에게서 등을 돌렸다. 학생들은 교사를 비난했다. 200만 명이 정치적 이유로 목숨을 잃었고 수천만 명이 투옥됐다. 중국에서 이 잔혹하고 끔찍한 시기의 기억은 빈 공간처럼 남아 있다. 중국 정부의 탄압과 당사자의 개인적 트라우마가 겹쳐 ‘국가적 기억 상실’을 초래한 것이다.
<기억의 장례>는 그 기억을 다시 끄집어낸다. 책을 쓴 타냐 브레니건은 영국 가디언지 기자다. 2008~2015년 중국 특파원을 지내며 깨달았다. 문화대혁명이 단지 과거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지금도 중국 사회에 영향을 끼치는 집단적 트라우마라는 것을. 그는 문화대혁명에 가담하고, 사태를 겪은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1970년 팡중모우는 남편이 홍위병들에게 구타당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 괴로운 나날을 보내던 어느 날 저녁 팡중모우는 마오쩌둥을 비난했다. 그걸 듣고 10대 아들인 장훙빈이 경고했다. “당신이 친애하는 마오 주석에 반대한다면 머리를 부숴버릴 거야.” 결국 팡중모우는 가족에게 고발당해 처형됐다.
시진핑 시대 들어 문화대혁명에 대해 말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저자는 말한다. 인터넷에 개설된 문화대혁명 추모 사이트도 폐쇄됐다. 저자는 묻는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면 사회는 어떻게 될까. 중국은 여전히 문화대혁명의 잔재를 벗어던지지 못했다고 저자는 덧붙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기억의 장례>는 그 기억을 다시 끄집어낸다. 책을 쓴 타냐 브레니건은 영국 가디언지 기자다. 2008~2015년 중국 특파원을 지내며 깨달았다. 문화대혁명이 단지 과거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지금도 중국 사회에 영향을 끼치는 집단적 트라우마라는 것을. 그는 문화대혁명에 가담하고, 사태를 겪은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1970년 팡중모우는 남편이 홍위병들에게 구타당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 괴로운 나날을 보내던 어느 날 저녁 팡중모우는 마오쩌둥을 비난했다. 그걸 듣고 10대 아들인 장훙빈이 경고했다. “당신이 친애하는 마오 주석에 반대한다면 머리를 부숴버릴 거야.” 결국 팡중모우는 가족에게 고발당해 처형됐다.
시진핑 시대 들어 문화대혁명에 대해 말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저자는 말한다. 인터넷에 개설된 문화대혁명 추모 사이트도 폐쇄됐다. 저자는 묻는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면 사회는 어떻게 될까. 중국은 여전히 문화대혁명의 잔재를 벗어던지지 못했다고 저자는 덧붙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